UPDATE 2025-11-14 23:49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건설·부동산

건설협회 전북도회, 새만금개발청·새만금개발공사에 지역업체 참여 확대 요청

대한건설협회 전북도회(회장 윤방섭)는 지난달 30일 군산 새만금개발청과 새만금개발공사를 방문해 새만금사업에 전북 건설업체 참여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윤방섭 회장은 새만금사업이 새정부 출범이후 대통령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정부의 국정과제 반영, 지난해 세계잼버리대회 유치는 물론 새만금사업 지역기업 우대기준이 마련됐으며, 새만금개발공사가 설립되면서 지역건설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도 크게 기대된다면서 전라북도 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가적인 바람으로 지역 내수경제 활성화와 전북 건설산업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지역업체 하도급 상향과 지역자재장비 등의 사용 촉진 지원이 필요하며, 새만금 사업 컨소시엄 구성 시 지역업체 참여율은 발주처의 의지가 중요함으로 지역업체가 실질적으로 40%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하는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현숙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 지역기업 우대기준을 적극 활용해 다수의 지역 업체가 새만금사업 공사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뒷받침 하겠다고 말했다. 강팔문 새만금개발공사 사장은 희망과 기회의 땅 새만금 사업에 지역업체가 실질적으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건설·부동산
  • 박태랑
  • 2019.10.01 18:25

전북 빈집 증가율, 최근 1년 가파른 상승세…전국 7번째로 높아

도내 빈집이 최근들어 빠르게 늘고 있다. 농촌 인구 고령화및 감소 추세와 더불어 신도시 개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국적으로 빈집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4년간(2015~2018년) 전북지역 빈집 증가율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7번째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평균 빈집 증가율은 12.8%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8.0%로 가장 높았고, 충북 22.8%, 강원 16.5%, 충남 15.77%, 제주 13.0%, 인천 12.9% 등이다. 전북은 11.7%로 전국에서 7번째로 높았다. 반면 대구와 세종의 경우 빈집 실태는 각각 -7.5%, -0.8%를 감소율을 보였다. 서울 0.6%, 부산 5.0% 등으로 나타나 대도시권일수록 빈집이 적게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내 빈집 현황을 보면 지난 2015년 7만 3869호에서 2016년 7만 3696호로 -0.2% 감소했으나 2017년 7만 7631호로 3935호(5.3%)가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9101호(11.7%)가 증가해 총 8만 6732호를 기록하면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혁신도시와 각 시군별 택지사업 등 과잉 공급 현상과 인구유출, 출산률 저하 등이 대표적인 이유로 꼽혔다. 전북도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노후 주택 등을 활용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으나 현실적으로 뾰족한 대책이 부족해 보인다. 도 관계자는 신도시 개발에 따른 과잉공급 현상이 만연한 가운데 인구유출, 출산률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빈집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현재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노후 주택과 다가구 주택을 매입해 취약저소득 계층, 귀농귀촌 농가에 5년간 무상 임대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반영해 공실률을 줄이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방치된 빈집을 효율적으로 정비하고 소규모주택 정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난 2017년 2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하고, 지난해 2월부터 빈집 실태조사와 빈집정비계획 선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1년 6개월이 넘도록 전국 228개 지자체 가운데 빈집 실태조사를 완료한 지자체는 57곳으로 전체의 25%에 불과했다. 협의 중인 13개 지자체를 제외하면 158곳에서는 조사 계획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주택 전문가들은 조사 결과 나타난 것보다 실제 빈집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전망돼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과는 별도로 지방자치단체의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건설·부동산
  • 박태랑
  • 2019.09.30 19:32

올해 전북 최고가 아파트는 전주 효자 현대 아이파크…10억 5000만원

안호영 의원 올해 전북에서 가장 비싸게 거래된 아파트는 전주 효자동 3가에 있는 현대 아이파크로 조사됐다. 지난 2016년 이후 도내에서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10억원을 초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국회의원(완주진안무주장수)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전라북도의 20162019년(9월 26일까지) 연도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계약일 기준) 상위 20위 현황에 따르면, 전주 효자동 3가의 현대 아이파크(전용면적 216.434㎡)는 10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두 번째로 높은 가격으로 거래된 아파트 역시 효자동 3가에 있는 현대 아이파크였다. 전용면적 142.314㎡가 8억5500만원에 달했다. 다음은 전주 태평동의 태평SKVIEW(235.101㎡) 7억5,000만원, 군산 수송동의 수송 아이파크(9232.143㎡) 7억1,000만원, 전주 효자동 아이파크(134.963㎡) 6억8,500만원, 태평SKVIEW(205.795㎡6억2,0006억3,500만원), 전주 중화산동2가의 풍림아이원(198.931㎡6억2,000만원), 전주 효자동 2가의 더샵2차(190.838㎡6억1,000만원) 순이었다. 올해 전북지역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상위 20곳은 군산시 수송 아이파크를 제외하곤 모두 전주시에 있는 곳이었다. 이들 주요 아파트 실거래가는 지난 2017년 잠시 떨어졌다가 다시 오름새를 보이고 있다. 단지간 실거래가의 격차도 벌어지는 현상도 나타났다. 안 의원은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전북의 고가 아파트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고가 아파트의 높은 시세가 다른 집값 상승에 연쇄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분양가 상한제 전면 시행 등 강력한 부동산 안정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건설·부동산
  • 김세희
  • 2019.09.30 19:15

한화건설, ‘포레나 전주 에코시티’ 10월 초 분양

한화건설(대표이사 최광호)은 10월초, 전주를 대표하는 친환경생태도시인 전주에코시티에 복합단지 포레나 전주 에코시티를 분양한다. 포레나 전주 에코시티는 전주에코시티 주상복합용지 1,2블록(덕진구 송천동2가 1313번지)에 위치하며, 지하 5층~지상 45층, 총 6개동(아파트 4개, 오피스텔 2개)의 복합단지다. 주거시설은 전용면적 84~172㎡ 아파트 614세대와 전용 84㎡ 단일면적의 주거용 오피스텔 203가구가 있다. 타입 별 세대수는 아파트가 △84㎡ 210세대 △116㎡A 119세대 △116㎡B 38세대 △120㎡ 122세대 △130㎡ 121세대 △163~172㎡ 4세대이며, 오피스텔은 △84㎡A 127가구 △84㎡B 76가구로 구성된다. 특히 소형 아파트를 대체할 수 있는 주거용 오피스텔은 청약통장과 주택 소유에 상관없이 청약이 가능하고, 분양권 전매도 자유로워 지역 투자자들에게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포레나 전주 에코시티는 전용면적 12,614㎡ 규모의 상업시설도 함께 분양에 나선다. 상업시설은 그라운드 1층(G1)과 지상 1층으로 구성되며, 약 170m 길이의 스트리트형으로 설계돼 보행자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에코시티 내 입주자 3만 2000여 명, 공원(세병공원, 세병호) 방문객 등의 고정수요 뿐 아니라, 단지 우측에 에코시티 복합커뮤니티센터가 계획되어 있어 많은 유동수요가 기대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에코시티는 송천동 일대 199만㎡ 규모 부지에 1만 3100여 가구가 계획된 미니신도시급 주거 타운이다. 교통 여건도 우수하다. KTX 전주역이 차로 10분대 거리이며, 동부대로와 과학로를 이용하면 전주제1,2일반산업단지, 완주테크노밸리 등 인근 산업단지까지 20분내로 출퇴근이 가능하다. 호남고속도로(전주IC), 익산포항고속도로(완주IC), 순천완주고속도로(동전주IC) 등을 통해 외부지역으로의 이동도 용이하다. 교육 및 주변 인프라 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에코시티 내 화정초와 화정중(2020년 개교 예정)을 도보로 통학할 수 있고, 키즈도서관, 수영장, 주민센터 등이 들어서는 에코시티 복합커뮤니티센터(2022년 예정)도 단지 옆에 예정돼 있다. 포레나 전주 에코시티는 전주시 송천동 2가 1326-9 주건빌딩 7층에서 홍보관을 운영 중에 있으며, 매일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 사업설명회를 진행한다. 견본주택은 10월 초 전주시 송천동2가 1332-5(송천역 네거리 인근)에 마련될 예정이며, 입주 예정일은 2023년 4월 예정이다. 문의번호 : 1644-4994

  • 건설·부동산
  • 박태랑
  • 2019.09.30 17:35

진안군 반월리 공장, 홍삼한방농공단지 내 위치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임야)- 본 건은 상관더원힐 남측 인근에 소재하며, 주변은 남측으로 임야가 주를 이루고 북측으로 농경지, 아파트, 펜션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출입이 가능하며, 인근에 시내버스 승강장이 소재하는 등 제반교통여건은 보통인 편이다. 부정형 완, 중경사지로서 맹지상태이다. 계획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 가축사육제한구역, 준보전산지이다.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공장)- 본 건은 홍삼한방농공단지 내에 위치하며, 부근은 중소규모의 공장 및 공업나지 등이 밀집한 농공단지로서 주위환경은 무난시 된다. 차량출입이 가능하고 군내버스 승강장이 인근에 소재하는 등 제반교통상황은 무난시 된다. 철골구조 판넬지붕 2층건으로 난연판넬 등으로 마감되었으며, 일부 전기보일러 설치 및 위생설비, 급배수설비, 전기설비 등이 구비되어 있다.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1가(주택)- 본 건은 효자대림아파트 서측 인근에 소재하며, 주변은 단독주택, 아파트, 근린생활시설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출입이 가능하며, 인근에 간선도로 및 버스승강장이 소재하는 등 제반교통여건은 보통인 편이다. 부정형완경사지로서 남측으로 폭 약 8m, 동측 일부가 폭 약 4m의 도로와 접한다. 시멘트 벽돌조 슬래브 지붕 단층 건물로서 적벽돌 노출쌓기 등으로 마감되었으며, 급배수설비 및 위생설비, 난방설비가 되어 있다. *자료제공: 호남경매신문 전주지사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9.25 17:22

공원일몰제 대응실적 평가 결과

내년 7월이면 공원 일몰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이 서울시 면적의 절반인 363㎢에 달하는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올해 8월 지자체별 공원일몰제 대응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지자체별 장기미집행공원 대응실적 종합평가결과를 발표하였다. 국토교통부는 내년7월 실효대상인 1766개 공원을 전수조사하고, 지자체별 공원집행률, 공원조성계획률, 공원조성 예산투입률, 공원별 세부계획 수립 수준, 난개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자체별 공원일몰제 대응 현황을 평가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공원집행률은 공원으로 결정된 전체면적 중 실제 조성된 공원의 비율이며, 그간 지자체에서 얼마나 공원조성을 위해 노력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세종시 97.5%, 인천시 74.8%, 경기도 64.7%, 서울시 58.7% 등 전국 평균은 52%인데 전북 지역은 43%의 공원 조성비율로 평가되었다. 공원조성 계획률은 2020년 7월 일몰대상 공원 중에 조성 중인 공원의 비율이며, 장기미집행공원 중 얼마나 많은 공원을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제주도 100%, 광주시 93%, 부산시 82%, 전북과 인천시가 80%이며, 전국 평균은 45%이다. 예산투입률은 지자체별 2019년 예산 대비 20년간 공원조성을 위한 재정투입액의 비율이며, 지자체에서 공원조성에 얼마나 높은 비중을 두고 재원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 대전시 9.2%, 서울시 8.3% 등 전국평균 2.8%인데, 전북은 19년 예산 대비1.27% 수준인 1350억 원이다. ㈜삼오 투자 법인 대표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9.25 17:22

캠코, 전북지역 45억 원 규모 압류재산 80건 공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전북지역본부(본부장 전한석)는 23일 오전 10시부터 25일 오후 5시까지 전북 소재 재산 약 45억 원 규모, 총 80건을 온비드(www.onbid.co.kr)를 통해 매각한다고 22일 밝혔다. 주요 공매물건은 임야의 경우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 산156, 산156-1, 산156-2(관리번호: 2019-04869-004)가 매물로 나왔다. 면적은 임야(지분) 1만 3600.804㎡, 임야(지분) 1만 2266.909㎡, 임야(지분) 7130.285㎡다. 감정가격은 7900만 원이고, 매각예정가격은 감정가의 90%인 7100만 원이다. 본 건은 북하향 토지로 현황 임야며, 지적도상 맹지다. 본건 지상에는 현황 폭 약 2~3m의 임도가 지나가고 있다. 또 근린생활시설인 익산시 영등동 303-7 제3층 제303호(관리번호: 2019-05757-001)에 대한 공매도 진행된다. 면적은 대(지분) 602.577㎡, 건물 923.480㎡이며, 매각예정가격은 감정가의 100%인 10억 6200만 원이다. 영등1동 행정복지센터 인근에 위치하는 ㈜인동빌딩 3030호로, 주위는 아파트 단지, 근린생활시설, 학교, 관공서, 단독주택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이와 함께 김제시 용지면 효정리 487-30 ㈜ 오토마트 전북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는 천공기(전북22바1245, 2017년)(관리번호: 2019-06033-001)가 매물로 나왔다. 감정가격은 1억 5000만 원이며, 매각예정가격은 감정가의 90%인 1억 3500만 원이다. 입찰 희망자는 보증금을 미리 준비해야 하며, 물건의 입찰일정에 맞춰 온비드에 입찰서(입찰보증금 납부 포함)를 제출하면 입찰이 완료된다. 공매 입찰 결과는 오는 26일 오전 11시 이후부터 온비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건설·부동산
  • 강정원
  • 2019.09.22 17:33

저소득층 주거안정 위한 매입임대주택 공급 빨라진다

다음 달부터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매입임대주택의 공급이 빨라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매입임대주택 사업의 주택 매입기준 및 공급절차를 개선해 다음 달부터 매입 후 입주까지 평균 소요기간을 3개월 이상 단축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입임대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주택 사업자가 다가구다세대 주택 등을 사들인 뒤 보수재건축해 청년신혼부부저소득층 등에 시세의 30% 수준의 임대료로 빌려주는 공공주택이다. 매입임대주택은 기존 주택을 활용하기 때문에 새로 짓는 임대주택보다 공급 기간이 짧지만, 매입한 주택에 기존 임차계약이 남아 있거나 보수 등으로 매입부터 입주까지 평균 1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국토부는 매입단계부터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주택을 최대한 확보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년 등을 위한 원룸형 주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민간매입 약정제를 내년부터는 주택 형태에 상관없이 입지주거 여건이 우수한 신축 주택으로 확대한다. 민간매입 약정제는 공공주택사업자가 매입을 미리 약정해 민간이 신축한 주택을 최대한 일찍 매입공급하는 제도다. 또 신축주택이 아닌 경우 주택 매입평가 과정에서 기존 임차계약의 잔여기간이 짧을수록 가점을 부여해 빨리 입주할 수 있는 주택을 우선 매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공급단계에서 입주자 모집 과정도 개선한다. 기존에는 주택 매각대금 잔금 지급과 보수가 끝난 뒤에 입주자를 모집했는데, 앞으로는 잔금 지급과 보수 작업이 남아있더라도 임대료 책정이 완료되면 바로 입주자 모집을 실시하기로 했다. 개선된 제도는 다음 달부터 LH가 우선 시행하며, 내년 중으로 매입임대사업을 시행하는 모든 공공주택사업자에게 확대시행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매입임대주택을 수요자에게 알맞은 시기에 공급하기 위해 이번 제도개선 외에도 신청자의 소득자산 검증기간 단축 방안에 대해서도 관계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건설·부동산
  • 강정원
  • 2019.09.18 19:12

전주 진북동 주택, 북전주세무서 인근 위치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주택)- 본 건은 북전주세무서 서측 근거리에 위치하고 주변은 단독주택, 근린생활시설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 접근이 가능하며, 인근 간선도로의 상태 및 연계성 등을 고려한 제반 교통여건은 보통인 편이다. 연와조 스라브지붕 2층 건물로서 벽돌 노출 쌓기 등으로 마감됐으며, 위생설비, 도시가스 설비 등이 되어 있다. △김제시 요촌동(대지)- 본 건은 김제여자중학교 북서측 인근에 위치하며, 인근 일대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근린생활시설 등이 혼재하는 주택 및 상가지대로서, 제반 주위환경은 무난한 편이다. 제반차량 출입이 가능하고 인근에 버스정류장이 소재하는 등 대중교통 여건은 양호하다. 세장형의 평지이며, 동측으로 노폭 6미터 내외의 포장도로와 접한다. 제2종일반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소로3류, 가축사육제한구역이다. △전주시 완산구 용복동(임야)- 본 건은 독배마을 동측 인근에 위치하며, 주위는 자연림이 주를 이루는 시 근교 자연마을주변 야산지대이다. 차량출입은 불가하고 북측 인근에 712번 지방도가 통과하며, 전주시 중심지까지는 차량으로 약 20분 정도 소요되는 등 제반 교통상황은 무난 시 된다. 사다리 급경사지이며, 지적도상 맹지다. 보전녹지지역, 공익용산지, 보전산지다. *자료제공: 호남경매신문 전주지사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9.18 18:27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9월 2일 전주에 탄소산업이 특화된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66만㎡의 산업단지 계획을 승인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전주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전주시에서 중점육성하고 있는 탄소소재 산업을 국가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제5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지역특화산단으로 선정하고 2017년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현재까지 추진해 왔다. 탄소소재산업은 자동차, 항공, 레저 등 활용분야가 넓고 전후방 산업 육성효과가 크며 에너지 절감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소재, 부품 산업에서 탄소소재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원천기술이 취약해 일본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국가산단이 조성되면 기존 탄소소재 생산시설과 국제탄소연구소, 탄소융합기술원 등 연구기관의 기술지원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로써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탄소소재 복합 클러스터가 구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산단 조성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24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내년부터 토지보상에 착수하고, 완공 시 1717명의 고용유발효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전주시 동산동 일원의 65만 6000㎡(19만 8000평) 규모이며, 올해부터 2024년까지 총사업비 177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유치 업종으로는 탄소기계, 탄소 전자, 탄소 기타 제조업, R&D 업종 등이다. ㈜삼오 투자 법인 대표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9.18 18:27

LH 전북지역본부, 건설현장 안전사고 Zero화 나선다

LH 전북지역본부(본부장 임정수)가 전설현장의 안전사고 Zero(제로)화에 나선다. 이에 LH 전북지역본부는 건설현장의 인명보호와 공사품질 확보를 위해 안전보안관 제도를 실시, 17일 시범사업 지구인 김제대검산 주택건설 현장의 안전보안관을 임명했다. 안전보안관 제도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자발적 안전의식 고취를 통한 효율적현실적인 현장 안전관리 방안으로, 공정별로 2주간 1인의 안전보안관을 선임해 오늘은 내가 팀원의 안전관리자라는 책임자로써의 의무를 부여하고, 모든 근로자에게 안전보안관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자발적인 안전관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다. 안전보안관으로 선임되면 작업시작 전 근로자의 안전보호장비 착용여부, 작업장 내 위험요소 여부 및 팀원의 건강상태(음주여부 등) 확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작업 중에는 사고위험 시간대별 스트레칭 체조 등을 주관하게 되며, 안전 위험요소 통보 및 시정조치 확인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LH 전북지역본부는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한 안전보안관을 선정해 포상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작업시작 전 실시하는 안전체조를 점심식사 후 오후 작업시작 전까지 확대하고, 시청각 안전교육과 현장안전방송도 안전취약 시간에 맞춰 시행할 예정이다. 또 현장 내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사항 등을 근로자가 건의하면 즉시 반영할 수 있도록 안전 신고함을 설치하고, 월 1회 우수제안자를 선정해 포상할 계획이다. 임정수 본부장은 건설현장 근로자는 우리 LH의 최대 고객이자 LH의 한 가족이라면서 안전에는 베테랑이 없다라는 건설안전 슬로건에 따라 지속적인 교육과 점검, 위험요소 제거, 관리감독 등을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드는데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건설·부동산
  • 강정원
  • 2019.09.17 17:40

대형 차량 드나드는데…군산 서수~익산 평장 우회도로 건설 하세월

군산 서수에서 익산 평장을 잇는국도27호 대체우회도로(서수~평장) 건설사업이 수년간 지체되면서 원광대학교 사거리에서 금마면까지 무왕로 인근 주민들과 화물차 운전자들의 불편이 고조되고 있다. 무왕로에는 대학로와 대형마트, 영화관 등이 집결돼 있어 대학생과 인근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군산김제산업단지에서 호남고속도로 익산IC를 이용하기 위한 화물차량은 무왕로상의 대학로와 영등동, 부송동 등 번화가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화물차 운전자들은 피로도 증가 등의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16일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등에 따르면 서수~평장 우회도로는 지난 2011년 제3차 국도국대도국지도 5개년(2011년~2015년) 계획에 포함됐다. 이 우회도로는 익산 영등동과 신동의 북부권을 지나는 국도를 새롭게 개설하는 건설 사업으로, 익산시내 교통체증 해소와 대학생주민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총 사업비는 약 3652억 원이 예상되며, 현재까지 128억 원이 투입돼 기본설계를 마무리하고, 실시설계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예산확보 문제와 이동경로 변경, 기획재정부의 사업적정성 검토 등의 이유로 사업이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회도로 건설사업이 지체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많다. 원광대에 재학 중인 서모 씨(25여)는화물차가 속도를 높일 경우 위협을 느끼기도 하며 횡단보도가 짓눌려 있는 곳도 있어 아찔하다고 말했다. 군산에서 화물차를 운행하는 장모 씨(31)는 군산을 출발해 익산IC를 이용하려면 도심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화물차를 운전하는데 피로도가 상당히 높다며 익산에서 가장 번화가를 지나다보니 차량도 많고 신호등도 많아 큰 차를 운전하는 사람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크다고 했다. 실제 익산국토청 조사 결과, 현재 익산IC로 통하는 금마교차로~석왕교차로 구간의 1일 통행량이 2만 8400여 대로 파악돼 도심 교통량은 이를 훨씬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대해 우회도로 건설을 담당하는 익산국토청은 국가 기본계획상에 국도27호 대체우회도로에 관한 내용이 포함돼 있어 앞으로 공사에는 차질이 없다는 입장이다. 익산국토청 관계자는 현재 기본설계가 끝난 뒤 실시설계가 진행되고 있으며, 서부내륙고속도로라는 변수가 생겨 당초 설계가 변경되는 등 시일이 늦어진 상황이라면서 토지 등 보상에 대한 감정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내년 국가예산 2억 원이 책정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익산국토청 계획대로 진행되더라도 우회도로가 2028년에나 완공될 예정이어서 앞으로 10년 가깝게 주민불편과 안전사고 위험은 불가피해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 건설·부동산
  • 박태랑
  • 2019.09.16 19:05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