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4 20:55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건설·부동산

전북 기계설비건설업 실적 ‘내실’

지난해 전북지역 기계설비건설업체들의 수주건수는 전년대비 감소했지만 수주액은 증가하며 내실있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전북도회(회장 손성덕)가 19일 발표한 2018년도 전북도회 회원사 246개 업체의 실적에 따르면 도내 기계설비건설업체들의 지난해 실적은 건수의 경우 6710건으로 전년대비 1.90%(-130건) 감소한 반면 수주금액은 3469억2427만8000원을 달성하며 전년대비 13.91%(423억4206만6000원) 증가했다. 원도급의 경우 건수는 전년대비 188건 감소한 5968건에 그쳤지만 금액은 275억7312만1000원 증가한 2072억39000원의 실적을 올렸다. 하도급은 742건을 수주해 전년대비 58건 증가했고 금액도 147억6894만5000원 증가한 1397억2423만9000원을 달성했다. 수주건수가 감소했음에도 실적금액이 증가할 수 있었던 요인은 상위권 업체가 국내 1군 업체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경기도와 충청도 및 기타지역에서 공동주택건설에 꾸준히 참여했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와 기업들의 투자가 위축돼 산업플랜트부분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북업체가 타지역에서 120억원 상당의 공사를 수주한 것도 실적 증가에 일조했다. 그 결과 전년보다 2개사가 늘어난 9개사가 50억원 이상의 실적을 기록했다. 업종별 실적을 보면 기계설비공사업의 경우 진흥설비(주)가 341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진흥설비(주)는 전북지역 기계설비건설업체 최초로 2017년도에 실적 300억원을 돌파한 업체로 2년 연속 300억원 이상의 실적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어서 2위는 (유)동성엔지니어링(190억원), 3위는 (주)제이앤지(130억원), 4위는 (주)홍익플랜트(119억원), 5위는 (유)일광기업사(92억원)가 차지했다. 가스시설공사업은 (유)일진엔지니어링이 43억원의 실적으로 1위, (유)상아이엔지(37억원)가 2위, (주)도원이지에스(20억원)가 3위, (유)신우이엔지(18억원)가 4위, (유)동부가스이엔지(15억원)가 5위를 기록했다.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전북도회 손성덕 회장은 전라북도와 전라북도 산하기관 및 각 시ㆍ군에서는 전북업체들을 외면하고 있지만, 전북외 지역에서는 대형건설사와 중견건설사로부터 기술력을 높이 평가 받고 있다며 열악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주능력 제고를 위해 건설협장의 최일선에서 고군분투한 회원사의 피와 땀이 어린 노력이 실적 상승을 주도했다.고 말했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2.19 20:27

전북지역 건설업체 지난해 실적 호조

전북지역 건설업체들의 지난해 실적이 전반적인 경기불황에도 종합건설은 물론 전문건설까지 모두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건설의 경우 대한건설협회 전라북도회(회장 정대영)에 따르면 종합건설 회원사 442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2018년도 건설공사 실적 신고를 받은 결과 436개사가 신고했고, 총실적금액은 전년대비 8.6%(2491억원) 증가한 3조1561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적신고 금액 상승의 요인은 공공공사 물량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주택 및 민간 건설 등의 전략적 투자와 새만금 우대 기준 마련을 통한 대형공사 참여도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신고업체수가 436개사로 전년대비 10개사가 증가한 것도 한 원인으로 파악됐다. 종합건설업의 손익분기점(토건업체 기준)인 50억원 미만의 업체비율도 전년 66.4%에서 64.7%로 소폭 감소해 재무 건전성이 개선됐다. 2018년도 도내 실적 1위는 지난해 2위를 차지했던 (주)계성건설이 공공주택(이지움 브랜드) 및 호텔 건설 등 민간 건설 수주에 힘입어 1위를 차지했고, (주)제일건설이 꾸준한 아파트 건설 실적으로 2위, 3위는 ㈜신성건설로 경기도 등 타 지역의 주택건설 민간 공사 수주로 전년 6위에서 3단계 순위가 상승했다. 4위는 외지지역 수주 증가에 힙입어 ㈜대창건설이, 5위는 ㈜신일이 차지했다. 그 외에도 새롭게 50위권내로 (주)개성토건(13위), (유)미래시아건설(24위), (유)이코종합건설(25위), ㈜가원건설(26위), 승화종합건설(주)(31위), 혜전건설(주)(32위), 상현종합건설(주)(33위), (유)유백건설(41위), ㈜에이치엘종합건설(42위), ㈜지아이(43위), ㈜만훈(44위), (유)은송(45위), (유)승명종합건설(47위), ㈜흥성(48위), ㈜지엔에스건설(50위) 등이 진입했다. 전문건설도 대한전문건설협회 전북도회(회장 김태경)가 지난 15일 완료한 도내 전문건설업체들의 2018년도 기성실적신고액이 전년대비 6.2%(1427억원) 증가한 2조 4511억원에 달했다. 도급 형태별로는 원도급 공사가 9.6% 증가한 7940억원, 하도급공사는 4.6% 증가한 1조 6571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무실적 업체는 87개, 1억미만을 신고한 업체는 3개사 줄어든 273개였고, 100억원이상의 실적을 올린 업체는 2개사가 늘어난 35개 업체로 이 업체들의 하도급금액이 전체 하도급 기성액의 43.3%(7173억원)에 달해, 전국적인 경쟁력을 갖춘 이들 상위 업체들이 실적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내 업체 중 기성신고액 1위는 947억원을 신고한 초석건설산업(주)이 차지했고, 지난해 1위였던 (유)청강건설이 680억원으로 2위, (주)신유건설이 3위(425억원), (주)유림개발(397억원) 4위, (주)일광산업개발(308억원)이 5위를 차지했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2.18 19:48

"전국 아파트 10채 중 4채, 2년 전보다 전셋값 떨어져"

전국 아파트 10채 중 약 4채는 2년 전보다 전셋값이 떨어져 역전세난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은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2018년 기준 전세보증금이 2년 전보다 하락한 아파트는 전국 평균 38.6%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전셋값이 계약 시점인 2년 전의 가격보다 내려가면 만기 때 전세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본다. 권역별로 보면 지방은 절반이 넘는 51.3%, 수도권은 29.7%가 2년 전 전셋값보다낮은 가격에 전세 거래가 이뤄졌다. 2016년까지는 2년 전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아파트 비중이 전국 10% 미만, 수도권 5% 미만, 지방 20% 미만이었지만, 2017년부터 빠르게 증가했다. 분기별로 보면 지방은 2017년 1분기, 수도권은 같은 해 3분기부터 2년 전 대비 전셋값 하락 아파트의 비중 증가 폭이 커졌다. 또 2016년까지는 2년 전 대비 전셋값 하락 아파트 비중이 보합세 내지 1% 미만의 증가 폭을 보였지만, 2017년부터 수도권과 지방 모두 분기당 평균 4%포인트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세금이 2년 전보다 10% 미만 하락한 아파트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2017년 63. 1%에서 2018년 64.2%로 1.1%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지방은 보증금이 10% 미만 하락한 비중이 50.5%에서 45.7%로 수도권보다 4배 이상 큰 4.8%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10% 이상 하락한 비중은 49.4%에서 54.3%로 상승했다. 2년 전 전셋값과 현재 가격 간 차액은 2016년까지 증가추세가 이어져 수도권은 평균 6천만원, 지방은 2천만원 이상에 달했다. 하지만 2017년부터 차액 폭이 줄어들면서 지방은 마이너스(-)로 반전했다. 지난해 4분기 2년 전 대비 전세보증금 평균 차액은 전국 388만원, 수도권 1천113만원, 지방 -825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 건설·부동산
  • 연합
  • 2019.02.18 19:48

전북지역 1월 경매 낙찰가율 용도별 대조

지난달 전북지역 법원경매 결과 용도별 낙찰가율의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2019년 1월 전북지역의 법원경매는 주거시설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하락했지만 업무상업시설과 토지의 낙찰가율은 상승해 대조를 보였다. 주거시설의 경우 169건이 진행돼 67건이 낙찰되며 39.6%의 낙찰률을 보였으며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3.2%p 하락한 68.6%를 기록했다. 평균응찰자수는 전월대비 0.2명 감소한 3.5명이다. 업무상업시설은 51건이 진행돼 21건이 낙찰되며 41.2%의 낙찰률을 기록했고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10.6%p 상승한 64.0%였다. 평균응찰자수는 전월대비 1.0명 감소한 1.5명이다. 토지는 166건이 진행돼 65건이 낙찰되며 39.2%의 낙찰률을 보였고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17.0%p 상승한 72.1%를 기록했다. 평균응찰자수는 0.4명 증가한 2.4명이다. 주요 낙찰 사례로는 정읍시 북면 소재 단독주택(토지 410㎡, 건물 81.7㎡)에 14명의 응찰자가 몰려 감정가의 265%인 2720만원에 낙찰, 1월 전북 최다응찰자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소재 84.9㎡ 아파트와 군산시 경장동 소재 60㎡ 아파트 모두 11명의 응찰자가 몰려 각각 감정가의 84%(9989만원), 71%(6389만원)에 낙찰됐다. 또한 익산시 황등면 소재 근린상가(토지 903㎡, 건물 1,029.6㎡)가 첫 경매에서 감정가와 비슷한 12억6012만원에 낙찰돼 1월 최고낙찰가를 기록했다. 전국의 1월 법원경매 낙찰건수는 3834건이고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0.9%p 하락한 70.0%를 기록했다. 용도별로 살펴보면 주거시설 경매는 전월대비 503건이 증가한 4797건이 진행돼 1737건이 낙찰됐고토지는 전월대비 286건 증가한 4080건이 진행돼 1483건이 낙찰됐으며 업무상업시설은 전월대비 101건 증가한 1791건이 진행돼 475건이 낙찰됐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2.13 19:55

전주 덕진구 팔복동3가 공장, 전주제2일반산업단지 서측 인근 위치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답)= 본 건은 나림마을 남서측 인근에 위치하고, 주위는 자연마을 및 농경지, 임야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접근이 가능하고 도보로 접근이 가능하며, 면 소재지 및 지방도와의 거리 및 접근성 등으로 보아 제반 교통여건은 보통이다. 부정형의 완경사이며, 계획관리지역, 배출시설설치제한지역이다. △임실군 임실읍 성가리(전)= 본 건은 임실공설운동장 서측 인근에 위치하며, 부근은 전답이 혼재한 읍소재지내 농경지대이다. 차량접근이 가능하며, 인근에 버스 승강장이 소재하는 등 제반 교통상황은 보통시 된다. 부정형의 토지이며, 서측으로 하향 완경사를 이룬다. 자연녹지지역, 가축사육제한구역이다.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3가(공장)= 본 건은 전주제2일반산업단지 서측 인근에 위치하며, 부근은 소규모 공장 및 창고 등이 주를 이루는 공업지대로서 주위환경은 보통시 된다. 인근까지 차량접근이 가능하며, 인근에 버스 승강장이 소재하는 등 제반 교통상황은 보통시 된다. 일반철골구조 슬라브지붕 3층 및 일반철골구조 콘크리트 평스라브지붕 4층 건으로서 판넬 및 드라이비트 등으로 마감되었으며, 기본적인 위생설비, 및 급배수설비, 전기설비, 난방설비 등이 되어 있다.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2.13 19:55

전북 부동산 박람회

법률 제15276호로 2017년 12월 19일 제정된 부동산 서비스산업 진흥법은 부동산 서비스 관련 산업의 고도화 및 융합화를 통해 글로벌 부동산 시장으로의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경제의 활성화에 이바지하려는 취지로 2018년 6월 20일부터 시행되었다. 이 법의 취지에 맞는 부동산 산업의 융합화를 보여주는 전북 부동산 박람회가 전주 중화산동에 위치한 전주 화산체육관에서 2월15일(금) 부터 17일(일)까지 3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박람회는 전주대학교 본관 건물 157호에 적을 둔 JB 쇼방(063-229-3435)이 주최하고 홍대INC가 지원하며 전주JTV방송국이 후원한다. 박람회 참가업체는 검증된 지역 최고의 업체들로 분양사, 공인중개사, 금융, 투자, 경매, 가전, 가구, 인테리어, 주방, 태양광, 이동식 주택, 청소, 홈&리빙, 여행사 등 부동산 관련 업체 및 업종들이 참가한다. 부동산 박람회 방문자는 만여명 이상으로 예상되며, 전북지역의 아파트 입주 관련 정보와 상가분양 정보, 그리고 청소, 인테리어, 대출과 경매에 관련된 상담까지 부동산 관련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전, 가구, 인테리어용품, 다양한 생활용품, 청소용품 등 다양한 브랜드 업체들 제품을 시중보다 저렴한 가격에 살 수도 있다. 박람회 방문객에게는 전원 사은품 제공뿐 아니라 박람회 마지막 날인 일요일 오후 6시에 현장추첨을 통해서 나누어 줄 냉장고, 세탁기, TV, 전자레인지 등 푸짐한 경품을 준비하고 있다. ㈜삼오투자법인 대표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2.13 19:55

LH, 건설기술용역 품질 강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설기술용역의 품질 강화를 위해 용역적격심사기준 개정을 완료하고, 3월 1일 후 입찰공고하는 모든 건설기술용역에 적용한다. 용역적격심사는 건설기술용역 입찰 시 용역수행능력과 입찰가격을 평가해 낙찰자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다. 이번 개정은 건설기술용역을 수행하는 업체에 적정 수준의 대가를 보장해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건설기술용역 규모에 따른 낙찰하한율을 상향한 게 대표적이다. 세부적으로는 △추정가격 10억원 이상 용역의 낙찰하한율은 기존 72.995%에서 79.995%로 △5억원 이상~10억원 미만은 기존 72.995%에서 85.495%로 △2억원 이상~5억원 미만은 80.495%에서 86.745%로 △고시금액 2억원 미만은 82.995%에서 87.745%로 각각 조정했다. 또한 기존에 통합해 관리하던 일반용역과 기술용역의 심사기준을 분리했다. 기존에는 기술용역의 규모에 관계없이 용역수행능력과 입찰가격을 평가한 종합점수가 85점 이상이면 적격심사를 통과할 수 있었으나 기준을 개정하면서 추정가격이 10억원 이상인 용역은 92점, 10억원 미만인 용역은 95점으로 통과기준이 상향됐다. LH는 이를 통해 더 우수한 역량을 갖춘 업체가 용역을 수행하게 돼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H 관계자는 이번 개정을 통해 건설기술용역의 품질이 확보될 뿐 아니라 건설기술용역 대가 현실화로 업체들의 출혈경쟁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에도 중소업체와의 상생협력을 위해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2.11 19:33

국민연금공단 제2사옥 수주업체 윤곽

국민연금공단 지방이전 제2사옥 신축사업 건축공사 수주경쟁에 전국적으로 478개사가 참여해 치열한 각축을 벌이는 가운데 도내 건설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한㈜우창종합건설의 수주가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격심사(기획재정부 고시금액 이상 입찰 품목에 대해 입찰 결과 최저 가격을 제시한 업체 순으로 적격심사 기준에 따라 심사해 최종적으로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 대상인 국민연금공단 지방이전 제2사옥 신축사업 건축공사는 조달청이 국민연금공단 수요로 지난달 31일 가격 개찰을 실시한 결과 ㈜우창종합건설이 도급추정 금액 267억 9000만원 대비 81.596%인 183억5748만8000원으로 투찰해 적격심사 1순위에 올랐다. 대표사로 입찰에 참여한 ㈜우창종합건설은 도내 업체인 상진종합건설(지분 33%)과 공동수급체를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2015년 6월 본사 이전에 이어 지난해 2월 기금운용본부 이전을 완료했고 2016년 12월 공공기관 최초로 국토교통부로부터 지방 이전 제2 사옥을 승인받았다 국민연금공단 지방이전 제2사옥 신축공사는 지하 1층~지상 9층, 연면적 2만389.68㎡ 규모이다. 국민연금공단은 앞서 기본 및 실시 설계를 진행했고 향후 제2 사옥 신축공사 계약을 체결한 후 내년 착공에 들어가 2020년 제2 사옥 준공을 할 계획이며 입주는 2020년 10월 예정이다. 한편국민연금공단 전주 본사 사옥은 지상 10층 높이로 정원 573명 규모이며 기금운용본부 사옥은 지하 1층~지상 8층 대지면적 1만8000㎡ 규모로 273명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사옥 수용 예상 인원은 약 372명으며 본사와 기금운용본부, 제2 사옥까지 합치면 총 수용 정원은 모두 1218명에 달한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2.06 18:46

국토계획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국토교통부는 지역주도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지자체 권한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의 일부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였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용적률 상한 최저 한도를 전용주거지역의 경우 50%, 일반주거지역은 100%, 상업지역은 200%, 공업지역은 150%로 낮추어, 현재 제2종일반주거지역, 중심상업지역, 전용공업지역 등 국토계획법 시행령에 세분된 용도지역을 지자체 조례로 추가 세분화하여 지자체 여건에 맞는 용도지역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지자체의 선택 범위를 넓혔다. 또한, 자치구에게도 개발행위허가기준을 수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여 자치구 여건에 맞는 개발행위허가가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이와 함께, 개발진흥지구의 주민제안 요건을 완화하고, 지구단위계획 관련 기초 지자체의 권한을 확대하여 지자체 여건에 맞는 용도지역, 허가기준, 도시계획시설 운영을 통한 도시관리를 도모하고, 도시계획 수립과정에서 주민의 참여를 증진시켰다. 개정안은 누리집(http://www.molit.go.kr)의 입법예고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국토교통부 정의경 도시정책과장은 도시계획 관련 지자체 권한 확대를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정책 수립이 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도시의 안전강화와 불합리한 규제 개선은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오투자법인 대표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2.06 18:46

전주시 완산구 경원동2가 주택, 전주등기소 인근 위치

△전주시 완산구 경원동2가(주택)= 본 건은 전주등기소 남동측 인근에 위치하고 주위는 단독주택 및 음식점, 상가 등 근린시설, 업무시설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접근이 가능하고 도보로 3분이내의 거리에 시내버스승강장이 소재하며 인근 간선도로와의 접근성 및 연계성 등을 고려할 때 제반 교통상황은 무난한 편이다. 목조 기와지붕 단층건으로서 회벽 및 몰탈위 페인팅 등으로 마감되었으며, 기본적인 위생설비 및 급배수설비, 난방설비 등이 되어 있다. △전주시 완산구 경원동3가(근린시설)= 본 건은 신용보증기금 전주지점 북측 인근에 위치하고, 주변은 관공서 및 근린생활시설 등이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 접급이 가능하며, 인근 간선도로의 상태 및 연계성 등을 고려한 제반 교통여건은 보통인 편이다. 철근콘크리트조 슬래브지붕 지하1층/지상 5층건물로서 인조석붙임 등으로 마감되었으며, 위생설비, 변전설비, 소화전설비, E/V설비 및 천장매립형 냉,난방설비 등이 되어 있다. △김제시 봉남면 신호리(전)= 본 건은 봉남초등학교 북서측 인근에 소재하며, 주변은 주택, 공업소 농경지가 혼재하는 지역이다. 차량 출입이 가능하며, 인근에 지방도가 통과하는 등 제반 교통여건은 보통이다. 부정형완경사지이며, 생산관리지역, 가축사육제한구역, 상대보호구역이다.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2.06 18:46

건설업체 법정 근로시간 '말뿐'

건설업체 근로자 10명 중 6명은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을 초과해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건설기업노동조합(위원장 홍순관)이 최근 소속 10개 지부 사업장에서 일하는 조합원 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건설업계 52시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3%인 386명이 주 52시간 근로가 지켜지지 않는다고 답했다. 주 52시간 이상 근로한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평균 60.5시간 정도 일한다고 답했다. 주당 최대 근로시간보다 8.5시간 정도를 초과해 일하고 있는 셈이다. 초과 근로가 일어나는 이유로는 인원 부족이라는 응답이 24.6%로 가장 많았다. 근로시간이 단축되려면 건설현장에 인력을 더 투입해야 하지만, 공사비에 근로시간 단축 비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인력 추가투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건설기업노조는 건설현장에 따라 여건은 다르지만 주 52시간 근무를 제대로 시행하려면 1020% 정도 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추정했다. 이를 위해 입낙찰제도를 손질하고 적정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설현장 관계자는 인건비는 공사금액에 일정 요율을 곱해서 보통 정하는데 현행 낙찰제도에 요율 자체가 낮게 산정돼 있다면서 여기에다 저가낙찰로 공사비가 확보되지 않으면서 투입 인력을 가장 먼저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기업노조 관계자는 법정 근로시간을 맞추려면 기존 인력의 4분의 1 정도의 인원이 더 투입돼야 하지만 돈 문제 때문에 안 되고 있다면서 정부에서는 공기 산정과 간접비 책정에 근로시간 단축을 고려하겠다는 답변을 내고 있지만, 실제 발주청까지는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노조는 현행 포괄임금제도에서는 초과 근로에 따른 추가 수당을 전혀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포괄임금제 폐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1.31 20:02

2019년 표준주택가격 공시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토교통부 공고 제2019-78호 공고문에서 2019년 1월 25일 부동산 가격 공시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2019년 표준 단독주택 가격을 공시하였다. 공시가격 기준일은 2019년 1월 1일로 표준 주택수는 220,000호이다. 공시사항은 표준주택의 소재지 및 지번, 지목, 건물용도 및 구조, 층수, 대지면적 및 건물 연면적, 건축면적, 건폐율, 용적률, 사용승인일이나 임시사용 승인일, 토지의 용도지역과 용도지구 및 형상, 도로 교통상황, 지리적 위치 및 주변 환경과 가격 등이다.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 및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http://www.realtyprice.kr) 또는 표준주택 소재지 관할 시, 군, 구청 민원실에서 열람 가능하다. 2019년 표준주택가격에 이의가 있는 자는 공고일인 1월 25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서면 또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이의 신청할 수 있다. 이의 신청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에서 다운받거나 시, 군, 구청 민원실에 비치된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2조의 규정에 의한 별지 제14호 서식인 이의신청서에 이의신청 사유를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서면으로 제출하거나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또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삼오투자법인 대표

  • 건설·부동산
  • 기고
  • 2019.01.30 19:30

전북개발공사, 만성에코르1단지 청약 1순위 마감

전북개발공사(사장 고재찬)가 만성지구에 최초로 공급한 공공임대주택이 평균 2.3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전 주택형이 청약 1순위로 마감됐다. 30일 전북개발공사에 따르면 만성지구 만성에코르 1단지 1순위 청약에 총 993건이 접수돼 평균경쟁률 2.35대 1, 최고경쟁률은 6.46대 1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평형은 84B㎡으로 24가구 모집에 전주시 거주자 155명이 청약 접수해 6.46대 1을 기록했고 이어 84A㎡ 1.62대 1, 84C㎡ 1.33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전날 진행했던 특별공급 모집에도 총 284건이 접수됐으며, 최고 경쟁률은 1.5대 1로 84B㎡은 청약이 초과되는 등 수요자가 몰렸다. 지난 21일에서 23일까지 진행된 혁신도시 이전기관종사자 특별공급 모집에도 84B㎡은 청약이 초과, 한국주택협회 주관으로 추첨을 한 바 있다. 당첨자 발표는 오는 2월 13일이며 주택소유자산자동차 등 입주자격 소명 절차를 거쳐 계약일은 5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입주는 올해 9월 예정이다. 전개공 관계자는 상반기 공급한 장계임실 농어촌 임대주택 등 공사에서 공급한 모든 공공임대주택 단지가 단기간에 100% 완판을 기록, 미분양 가구 수가 없다며 도민들에게 새로운 주거가치를 창출하고 입주예정자들의 높은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최고 품질의 아파트를 짓겠다고 밝혔다. 한편, 만성에코르 1단지는 전주시 만성동 1637-3번지 일원에 들어서며 국민주택규모인 전용면적 84㎡, 총 832가구를 공급한다.

  • 건설·부동산
  • 강현규
  • 2019.01.30 19:3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