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푸드 2025플랜 들여다보기 (하) 향후 과제] "단일작목 대량 생산 아닌 다품종 소량 연중 공급을"
전주푸드 2025플랜의 성공 여부는 생산과 관리의 지속가능성에 달려있다. 해마다 플랜이 안정적으로 진행돼야 지역경제를 선순환시킬 수 있다. 가계먹거리 경제에서 높아진 전주산 농축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뒷받침돼야 한다. 전주푸드 2025플랜의 향후 과제를 짚어본다.△ 품목 다각화와 연중 공급체계 위한 생산력 복원이 1차 과제전주산 먹거리를 지역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요에 부응하는 지속가능한 생산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현재처럼 전국을 겨냥한 단일작목 생산체계로는 원활한 지역공급이 불가능하다. 가족소농의 경우 농업규모가 작아 단일작목의 대량생산이 어렵기 때문이다.따라서 다품목, 소량생산, 연중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재편하는 게 선결과제다. 농가별 기획생산 작부체계를 만들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 다양한 먹거리가 연중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중장기적으로는 그 연계망을 전북내의 농촌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1조원 가계먹거리 경제에서 전주산 비중을 2000억원으로 높이더라도 나머지 간극을 어떻게 메워야 하느냐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북발 로컬푸드 바람이 거세지만,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이 더디고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는 밑바탕에 지역단위 생산재편 실패가 자리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생산에서 소비까지 통합적 관리시스템 구축이 관건산업화한 먹거리체계는 분절적이고 파편적이다. 생산=농업, 가공=산업, 분배=교통물류, 판매=소매 등으로 세분화돼 통합하기 어려운 구조다.전주푸드플랜은 지역생산-지역소비를 짧은 유통구조로 연결하는 프로젝트이므로 생산-가공-유통-소비를 일원하는 전략이 필수다. 내년 중 월드컵경기장 일원에 조성될 전주푸드허브는 지역먹거리의 플랫폼으로서의 통합적 기능을 고려한 계획으로 판단되는데, 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컨트롤해야 하는 재단법인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지적이다.△공공급식의 사회적 공감대 형성도시 먹거리정책에서 학교, 병원, 사회복지시설, 교도소 등 세금이 투입되는 공적먹거리 조달은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공공조달은 지역단위 생산과 소비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바꿀 수 있도록 재조정하는 강력한 수단이다.영국은 지난 2002년 구제역파동을 겪는 와중에 공공부문 먹거리조달 전략적 실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당시 프로그램을 소개하자면 △생산과 가공의 기준을 높인다 △소규모 지역생산자의 입찰 참여를 늘린다 △영양 많은 먹거리의 소비를 증진한다 △생산과 공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인다 △소규모 지역 공급자들이 좀 더 정확하게 수요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는 내용이다.앞으로 공공급식의 조달체계를 경쟁시장의 영역에서 공공정책의 영역으로 옮겨오는 게 전주푸드플랜 성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도시먹거리 전략 미래비전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과제농민과 시민, 나아가 지역경제를 이롭게 하는 먹거리 전략이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미래비전 공유와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 정책이 연속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안정된 지원체계가 확립돼야 한다. 아울러 환경, 공중보건, 사회정의, 고용, 교육, 삶의 질, 사회통합 등 서로 다른 정책을 먹거리를 매개로 통합할 수 있을 때 전주시의 먹거리 전략은 궤도에 오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