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MT가 '먹고 토하는 날' 인가

▲ 임윤섭 전주대 사회복지학과 4년
3월 개강을 맞아 대학은 학생들로 북적댄다. 강의실을 찾아 허둥지둥하는 신입생들. 그런 신입생들을 영입하려는 각 동아리와 단체들의 학생들이 섞여 방학동안 조용했던 학교는 마치 어린이날 놀이공원처럼 북새통을 이룬다. 나를 비롯한 선배님들(특히 예비역들)은 시끄럽고 정신없어 죽겠다는 짜증스런 얼굴로, 혹은 너희들이 세상에서 제일 부럽다는 얼굴로 그 광경을 지켜본다.

 

매번 개강 때마다 가장 붐비는 곳이 내 생각에는 딱 두 곳인 것 같다. 일단 학교 구내서점. 요즘에는 인터넷 서점이 많고 싸기도 하지만 서점에는 새 학기 새 교과서를 사려고 하는 학생들이 줄을 섰다. 어지간한 '타이밍' 아니면 줄을 서서 상당히 기다려야 하고, 막상 서점에 들어가서도 학생들은 왜 그리 많은지. 책을 찾는 학생들과 찾아주는 서점 직원들이 섞여서 지나가기조차 힘들다. 책을 찾아도 계산을 기다리는 줄은 길다. 새 책 냄새와 새 학기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지 나도 줄을 서서 동기와 떠들어 댔다. 그런데 개강 일주일 후, 서점은 한산하다. 학교 구내서점은 '한철장사'인가 보다.

 

개강 때 붐비는 곳 두 번째. 대학가.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학교 앞 술집들. '수강신청주' 라고 수업에는 못 봤던 친구들도 이 시간에 이곳에서는 볼 수 있다. 대학로는 사람들로 꽉 차서 밥 먹을 식당 찾기도 힘들다. 자리 있는 집을 겨우겨우 찾아서 자리에 앉으면 다짜고짜 게임을 하고 술을 '말아서' 시원하게 들이키는 술자리. 가게 안이 웃음소리, 게임하는 소리, 고함소리 섞여서 옆 사람 말도 잘 들리지 않는다. 새벽까지 자리는 이어진다.

 

작년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에 의해 보도된 자료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음주량이 10년 전보다 절반으로 줄었단다. 그러나 한 자리에서 폭음하는 비율은 훨씬 늘었다고 한다. 음주량이 줄었다는 것은 잘 모르겠는데, 폭음하는 것은 어느 정도 맞는 것 같다. 뭐 나쁘다고만 할 수도 없는 것 같다. 스트레스는 풀어야 하는 법이니깐.

 

그러나 이런 것들이 당연시 되고, '전통'이 되고 '문화'가 되는 것은 생각해 볼 문제인 듯 하다. 서점은 개강 때만 바쁘고, 술집은 개강 때도 바쁜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과거 '통기타'와 '화염병'으로 대표되던 대학문화가 시간이 흘러 이제는 '술' 문화로 굳어져가는 것 같다. 과거에는 스트레스와 열망을 능동적으로 표출하고 풀고자 했다면 이제는 억누르고 다스리고 적응하려하고 잊어버리려고만 하는 것 같아 이 시대 한명의 대학생으로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하다.

 

또한 얼마 전 기사화 된 모 대학의 MT(M embership Training)는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군대식 '얼차려'로 인해 논란을 만들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전통'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학교뿐이겠는가. 많은 학생들이 MT는 '먹고 토하는' 날로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문화와 전통은 유익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진보되고 계승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 이른바 '대학문화'에 대해서 대학의 주체 중 한 축인 대학생들이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얼마나 있을까. 우리 학과후배들에게 물려줄 훌륭한 '전통'은 무엇이 있을까. 단지 먹고 마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닐 텐데. 빨리 안취하고 천천히 취하면서 우리 얘기와 생각을 나눠도 될 텐데 하는 생각을 해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