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보름달 아래서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기획

▲ 김도연 소설가
추석이 지났다.

 

다행히 길은 그다지 막히지 않았고 날씨도 괜찮았다. 고향집은 여전했으나 부모님의 등은 조금 더 굽어져 있었다. 누렁이는 앞다리를 들어 반겨주었고 살이 오른 흰 토끼들은 두 귀를 쫑긋 세운 채 빨간 눈으로 토끼장 밖의 웅성거림에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지난 봄 병아리였던 닭들은 어느새 중닭으로 자랐고 수탉은 자기가 거느린 암탉들을 건드릴까봐 부리부리한 눈으로 철망 앞에서 시위를 했다. 갓 낳은 따스한 달걀 하나를 손에 쥐어보고 싶었지만 수탉의 위세에 욕심을 접었다. 고향집에 오면 마치 순례를 하듯 하나하나 돌아보는 습관이 든 게 언제부터인지 모르겠다.

 

추석날 밤 달 보며 빌었던 소원은

 

예년보다 일찍 추석이 찾아온 탓에 고추는 아직 반밖에 물들지 않았고 수수열매를 찾아왔던 새들은 양파 망이 씌워져 있는 걸 확인하자 치사하다고 지저귀며 다른 밭으로 날아갔다. 품종개량을 한 것은 아닐 텐데 들깨줄기는 사람 키보다 컸다. 깨를 베고 옮겨서 털려면 꽤나 품이 들어갈 것 같았다. 나는 말라가는 옥수수수염을 쓰다듬고 담장을 따라 뻗어간 머루 줄기에 매달린 검은 머루 알을 지그시 눌러본 뒤 겨우 네 알밖에 열리지 않은 사과나무에 애틋한 눈길을 주었다. 작년에는 한 집에 한 봉지씩 들고 돌아갔는데 올해는 한 알씩 가져가야할 형편이었다.

 

집 뒤편 개울가에서 자라는 돌배나무는 이미 열매를 모두 떨어트린 채 잎이 말라가고 있었다. 돌배는 다른 과일과 달리 익기도 전에 열매를 툭툭 떨어트리곤 했다. 어린 시절 돌배를 줍다가 돌처럼 단단한 돌배에 머리를 맞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내 고향에서는 돌배를 맛이 몹시 시어서 심배라고 불렀다. 잘 익은 돌배라 하더라도 한 입 깨물면 그 신맛에 몸서리를 치는 게 돌배의 맛이었다. 그래서인지 다른 산열매보다 인기가 없었는데 최근에 들어와 돌배 술로 일약 주가가 치솟았다. 잘 담근 돌배 술을 외국의 와인보다 그 맛이 깊고 그윽하기 때문이다. 폭설이 내리는 길고 깊은 겨울밤, 구들장이 뜨끈뜨끈한 고향집 뒷방에 앉아 문 밖의 눈을 내다보며 마시는 돌배 술의 맛을 어디에다 비교하겠는가.

 

뿔뿔이 떨어져 사는 식구들이 먼 길을 달려와 모두 모이면 할아버지 할머니 산소에 성묘를 간다. 성묘 가는 길이 어렸을 때만큼 멀고 규모가 크며 왁자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옛 기억을 떠올리며 산길을 달린다. 먹을 게 부족했던 그 시절, 한 시간은 걸어야 되는 성묫길이었지만 사촌들은 누구하나 빠지지 않고 코를 흘리며 악착 같이 걸었다. 성묘를 가야 맛있는 걸 먹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벌에 쏘이고 넘어지고 개울을 건너다 물에 빠지면서도 조만간 입으로 들어올 음식들을 상상하며 힘들다는 내색조차 하지 않았다. 그렇게 우리는 그 세월을 건너 지금 여기에 도착해 자동차를 타고 십 분 만에 산소에 도착한다. 그러나 사촌들은 없다. 어른이 된 사촌들은 묘소를 바꿔 자기의 부모님 묘소에 성묘를 가기 때문이다. 어른이 된 딸들은 시댁의 산소에 성묘를 가기 때문이다. 당연히 예전처럼 서로 음식을 먹으려고 산소를 뱅뱅 돌며 법석을 떨지도 않는다. 그 그림자만, 그 기억만 산소 주변에 맴돌 뿐이다.

 

바다 속 아이들 빨리 돌아왔으면

 

추석의 밤을 밝히는 보름달을 쳐다보았다. 보름달이 떴음에도 고향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을 떠올렸다. 그들은 왜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을까. 사업에 실패했을까. 형제들과 대판 싸운 게 아직 풀리지 않았을까. 명절에 때맞춰 부부싸움을 했을까. 고향에 가도 아무도 없으니 외국으로 여행을 간 것일까. 또 취업에 실패한 것일까. 결혼은 언제할 거냐는 친척들의 위로가 지겨워진 것일까. 이유도 가지가지일 테고 변명도 가지가지일 것이다. 세상사 그렇고 그렇지 않은가. 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다. 저 깊은 바다 속에서 아직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이 하루빨리 부모의 품으로 돌아왔으면 좋겠다고. 이번 추석의 소원은 그것뿐이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