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어른께 '만수무강 하세요' 예의 어긋나요

덕담은 윗사람이 하는 말…아랫사람은 "명심하겠습니다" 적당

??설 차례상 차리는 법을 배우고 있는 젊은 여성들.
설 명절이 되면 새댁들의 머리가 무거워진다.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 하는 일 보다 간만에 보는 친척 어르신들에게 실수하지 않고 처신하는 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호칭 부르기, 세배 올리기, 차례상 차리기 등 배워두고 가야할 게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유학자이자 서예가인 석전 황욱 선생을 32년간 시아버지로 모시면서 전통 예절을 익힌 전인주 전북예절원 원장(71)이 들려주는 예절의 비법(?)을 들어봤다. 전 원장은 "내용이 없는 형식은 없다"면서 "각자 바쁘게 살다 보니 산소도 미리 다녀오는 경우도 그나마 괜찮지만, 선산을 찾지도 않고 여행을 다니는 것은 안 될 말"이라고 덧붙였다.

 

 

△ 남편을 부를 때 '그이' 혹은 '저이'

 

갓 결혼한 신부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남편을 부를 때다. 자신도 모르게 연애할 때처럼 '오빠' 혹은 '~씨' 혹은'자기야'로 부를 경우 시아버지 시어머니가 불호령을 내리지 않더라도 표정부터 살펴야 할 것이다.

 

전인주 원장은 "시집 식구들 앞에선 남편을 '그이' 혹은 '저이'라고 불러야 하고, 아이를 낳은 뒤라면 '아비' '아범'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말했다. 친정 식구들 앞에선 성을 붙여서 '△서방' 혹은 '그 사람'이라고 불러도 상관없다. 새신랑은 아내를 친가에선 '그 사람' '어멈' '어미'로 부르고, 처가에선 '집사람' '안사람' '그 사람'으로 불러야 한다.

 

가까운 친척인데도 헷갈리는 호칭이 남편의 형이나 누나, 남·여동생의 관계. 전 원장은 "남편의 형님과 같은 항렬은 아주버님, 아내 오빠의 아내는 아주머니, 아내 남동생의 아내는 처남댁으로 부른다"고 일렀다.

 

 

△ 어른들께 "만수무강 하세요" 버릇없다(?)

 

설날 빠지지 않는 게 세배다. 세배는 조부모, 부모, 자녀가 있을 때는 부모가 먼저 조부모에게 세배한 뒤 자녀가 조부모에게 세배해야 한다. 자신보다 더 어른이 있을 경우에는 그 예를 생략하는 것이 우리의 예법이다.

 

요즘 현대인들이 많이 범하는 실수 중에 하나가 어른들께 세배 올릴 때 "만수부강하세요","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고 인사를 먼저 드리는 것이다. 덕담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건네는 게 예의이지 아랫사람이 먼저 인사말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 전 원장은 "어르신들이 덕담을 하신 이후에는 '명심하겠습니다', '노력하겠습니다', '말씀 잘 새기겠습니다' 정도의 답변은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우리의 앉은절은 절을 올리고 일어나는 것까지이기 때문에 반드시 일어났다 다시 앉아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세배는 우리의 미풍양속이지만 세뱃돈은 아니다. 하지만 세뱃돈은 정을 나눈다는 데 의미를 두어 나이에 따라 1000원, 5000원, 1만원 정도만 주는 게 적당할 수 있다. 그 이상의 돈을 주고 싶다면 별도로 용돈을 마련해 우리의 미풍양속인 세배가 돈과 결부되지 않도록 어른들이 신경을 써야 한다.

 

도움말=전인주 전북예절원 원장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