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물폭탄’ 군산 수해, 천재 아닌 인재 논란

[앵커멘트]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이런 화를 당하게 됩니다.

물 폭탄으로 쑥대밭이 된

전북 군산시 얘깁니다.

주민들은 수해가 날 때마다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번번히 묵살됐다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

채널 A 제휴사인

전북일보 은수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간당 60 밀리미터의 폭우로

무너져 내린 산비탈입니다.

이 곳은 지난해 7월에도 산사태가 났던 곳으로,

한 달 전 배수로 공사를 마무리했습니다.

하지만 기록적인 폭우에

배수로는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주민들은 분통을 터뜨립니다.

[인터뷰 : 김종심 / 아파트 주민]

"이렇게 날림으로 공사를 하면 안 된다.

여기는 산사태가 나는 지역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줘야지. "

땜질 처방이어서

산사태가 또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옵니다.

[인터뷰 : 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

"물이 밑에서 돌 사이에서 흐르는데

위에다 만들어놓은 거에요.

밑에까지 파야 된단 말이예요.

제대로 공사하지 않은 거구요."

도심 한복판인 이곳도

해마다 물난리를 겪습니다.

[스탠드업 : 은수정 기자]

상습 침수를 막기 위해 이처럼 가림막을 설치하고

모래주머니까지 마련했지만

빗물은 삽시간에 2미터 높이까지 차올랐습니다.

[인터뷰 : 유영상 / 피해주민]

"10년에 열 번 넘게 수해를 입었고요.

작년에 수해를 입고 나서

지하 우수관을 몇 년 후에 해준다고 해서."

차량 700여대가 물에 잠긴 이 아파트는

배수구 입구를 막아버린 바람에 피해가 커졌습니다.

[인터뷰 : 아파트 주민]

"그 위에 장판지 같은 거 있죠. 가려놨었어요.

거기 뭐 들어간다고. 인재야 인재..."

최고 440밀리미터의 물폭탄이 쏟아진 군산.

주민들의 목소리를 묵살한

결과가 어떤 것인지 보여줬습니다.

전북일보 은수정입니다.

은수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