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유기 방지 '반려동물 등록제' 올초부터 시행

도내 동물병원 등 45곳 대행업체 지정

▲ 넉살 좋은 고양이 '미우'와 비오는 날 구조한 '럭키'.
19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국제 심포지엄에서 사람과 함께 사는 동물을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해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뜻에서 애완동물보다는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 즉 반려동물로 개칭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올 초 1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된 반려동물등록제는 반려동물과 소유주의 정보를 등록, 관리함으로써 반려동물을 잃어버린 경우 주인을 신속히 찾아주고 동물의 유기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이다. 6월 30일까지였던 계도기간을 최근 올 해 말까지 연장했다. 반려동물과 함께 등록대행업체를 방문하면 된다. 전라북도에는 약 45곳의 동물병원 등이 등록대행업체로 지정되어 있다. 방식은 3가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내장형 마이크로칩을 삽입(2만 원)하거나 외장형 무선식별장치를 부착(1만5000원)할 수도 있고, 인식표만 부착(1만원)해도 된다.

 

등록대상은 생후 3개월 이상 된 반려견이며, 계도기간이 지나면 미등록 반려견으로 적발 시 소유주에게 최고 4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이미 전자칩을 삽입한 반려견을 등록하거나, 기초생활수급자가 등록하는 경우, 중성화수술을 한 동물을 등록할 경우엔 등록수수료의 50%를 감면하는 혜택도 있고,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보조견을 등록하거나 유기견을 입양해 등록할 땐 등록 수수료를 전액 감면해주기도 하므로 미리 미리 챙겨 볼 일이다. 인구 10만 이하 시군 및 도서 오지 벽지 지역은 제외된다. 자세한 내용은 농림축산검역본부 사이트(www.anmal.go.kr)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