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새 아침을 여는 시] 둘 사이-김계식

두 글자 사이

얼마만큼 붙이면 <붙여 쓰기>인 것이고

얼마만큼 띄면 <띄어쓰기>인 것인가

 

태초에

아담과 하와 사이

가까운 사이였을까 먼 사이였을까

 

단 둘만의 사이는

언제나

가장 멀고도 가장 가까운

그런 사이인 것을

 

⸱⸱⸱⸱⸱⸱<붙여 쓰기>는 띄어서 쓰고 

    <띄어쓰기>는 붙여서 쓸 때부터

그 아리송함에 어리둥절하기는 했지만

 

 △ “얼마만큼”의 거리는 사랑의 무게를 금 저울에 올려놓아야 보인다. 혼인성사로 맺어진 한 몸을 사이와 사이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아리송하다. “두 글자 사이”를  공책에 옮겨 쓰다가 문득 마음과 마음의 거리가 꾸불꾸불해 보이지 않는다. “아리송함에 어리둥절”하다고 생각할 때는 “둘 사이”가 뜨거운 열정에 녹아있을 때일 터.  안갯속처럼 보였다가 보이지 않는 “둘 사이”의 운명은, 함께 가지만 서로 만나지 않는 철로를 따라 걷는 부부의 동행이 아닐까./ 이소애 시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실시

사회일반문형배 “지역균형발전은 좋은 정책 아닌 유일한 정책”

교육일반[NIE] 좁아진 일자리의 문과 해외로 향한 청년, 그 뒤에 남겨진 질문

스포츠일반[전북체육 종목단체 탐방] (13) 전북자치도씨름협회

오피니언[사설]새만금 글로벌청소년센터, 활용 방안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