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독자마당] 취업률 1위 대학의 특색

강병원 (전 전라북도 도지 집필위원)

대학별 취업률 통계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른 지도 수년이 지났다. 취업률을 부풀렸다는 사례도 있어서 교육과학기술부의 제재도 있지 안았는가.

 

충남 천안시에 있는 '한국기술교육대학(약칭 한기대)'은 사실상 취업률 1위로 인증되었다. 그렇게 된 중요한 대학 경영의 특색은 한 번쯤 탐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한기대는 1991년 고용노동부가 설립해 운영하는 공학계열 중심 4년제 특성화대학이다. 재학생은 4,400명, 20년의 역사지만 우리 나라 실무공학 교육을 선도하는 대학으로 정평이 나 있다.

 

이 대학 교육이념은 실사구시(實事求是). 철저하게 기업과 산업체가 원하는 실무형 공학적 인재를 양성하자는 게 대학경영의 지표이다. 한기대는 기계정보공학부,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컴퓨터공학부, 디자인공학과, 건축공학부,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산업경영학부 등 7개 학부 1개 학과에 재학생 3,800명, 대학원생 600명이 재학중이다.

 

한기대의 위상은 취업률인데 올 10월 1일 교육과학기술부 발표에 따르면, 취업률 81.1%로 전국 1위였다. 이는 졸업생 1,000명 미만 대학 그룹 중에서 전국 4년제 대학중 1위로 밝혀졌다.

 

한기대의 특성화된 교육경영 모델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수업 50%와 실험실습 50%의 실무중심 수업 △실험실습실 24시간 개방 △교수 1인당 학생 수 26명이고 둘째, 교수 채용시 3년간 산업체 경력 필수이고 셋째, 저렴한 등록금과 기숙사 수용률을 높이고 있는 교육환경 등이 꼽히고 있다.

 

한기대는 국책사업에 강한 대학이라는 특징이 있다. 올 3월부터 교육역량 강화사업 지원 대학으로 선정되었는데, 이로 인해 지원받은 금액은 25억 3,700만원으로 재학생 1인당 65만6,000원 꼴이라고 한다.

 

대학 경영에서도 이론 중심 강의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실무형 실습교육으로 혁신하여야 한다는 논리와 주장들은 많았으나 왜 그런지 오늘 날에도 구관념에 사로잡혀 강의 주도에서 탈피하지 못한 경향이 많은 것으로 보이는데, 혁신 과제라고 제언한다.

 

/ 강병원 (전 전라북도 도지 집필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완주“연극 배우 됐어요”⋯완주 초등학생 연극무대 오른다

군산[르포] “김치로 통하다”···군산 시민과 주한미군이 버무린 하루의 정(情)

부안전국 지자체 최초, 부안군 ‘ESG 3대 국제표준’ 완비…ESG 행정도시 전환 가속

김제김제시 농업재해 컨트롤타워 부재 등 ‘도마 위‘

무주무주군, 스마트농업 선도지역으로 발돋움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