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보지명
'후보지명'이란 '노미네이트'를 대신할 우리말이다. '노미네이트'는 영어 'nominate'에서 온 말로, 시상 행사와 관련해 '어떤 상의 후보자로 지명되다'의 뜻으로 쓰이거나 또는 '어떤 직책에 임명되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 밖에도 '노미네이트'라는 말은 '중요한 지위에 특정한 일을 하도록 후보자로 지명되다' 또는 '시간이나 날짜, 제목 등을 정한다'를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이 때 'nominate'는 '-되다'의 형태인 동사로 쓰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직책에 임명되다'라거나 '시간, 날짜, 제목을 정하다'는 의미로 '노미네이트'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게 나타나고 있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시상 행사와 관련하여 '어떤 상의 후보자로 지명됨'을 의미하는 명사로 더 널리 쓰이고 있다. 그 결과 우리 사회에서는 '노미네이트'에 '-되다'라는 피동 접사를 붙여 '노미네이트되다'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동사가 명사로 둔갑한 외래어가 된 것이다.
최근에는 '노미네이트되다' 대신에 '노미니되다'라는 말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노미니되다'라는 말은 '어떤 상의 후보자로 지명된 작품이나 인물'을 뜻하는 '노미니(nominee)'에 피동 접사 '-되다'가 결합된 말이다.
▲ 화려한 수식어
보통은 '아무개가 연예 대상 후보에 노미네이트되었다.'라고 말한다. 즉 '후보로 지명되었다.'는 뜻이다. 만약 '노미네이트 된 적이 많았다.'라고 말한다면 후보로 지명되기는 했지만 상은 타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만일 상을 탔다면 '수상자'라고 말한다.
흔히 시상 행사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말 중에는 화려한 수식어가 많아 '노미네이트되었다.'는 것만으로도 최고의 영광인 것처럼 느껴진다. 예를 들자면 "세계적인 여자 가수가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주제가상에 노미네이트되는 기염을 토했다."라거나 "충무로의 신예 영화감독이 최우수 감독상에 노미네이트되는 최고의 영광을 차지했다."식의 뉴스가 대중의 귀를 사로잡는 식이다.
▲ 이렇게 쓰세요
영화 <하늘과 바다> 가 티라나국제영화제에 후보지명 되었다. 하늘과>
그 선수는 <타임> 지 선정 '올해의 인물'에 후보지명 되었다. 타임>
청룡영화상 후보지명이 결정되었다.
/ 장미영(전주대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