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일반건설업체가 4개사중 1개사 이상은 지난해 공공공사를 단 한건도 수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신규 공사물량 감소와 더불어 최저가낙찰제 등의 확대 시행으로 도내 업체들의 수주난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5일 건설협회 전북도회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택건설 활황에 힘입어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이 사상 최대치인 96조에 이르는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국내 건설경기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도내 건설업체 678개사중(회원사 305개사, 비회원사 373개사) 27.7%에 달하는 188개사는 작년 공공공사 수주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중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비회원사 373개사의 37.5%인 140개사의 수주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나 회원사 305개사중 15.7%인 48개사만 공사 수주에 실패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공사를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많은 것은 최근 업체가 난립한 가운데 시공실적이 없으면 3억원 이하의 공공공사에만 응찰할 수 있는가 하면 실적을 보유한 업체도 '운(運)'이 없이는 수주할 수 없는 현행 입찰제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는 장기계속공사를 제외한 신규공사 물량이 작년보다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도내 업체들의 수주난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게다가 정부가 최저가낙찰제 대상공사를 확대 시행하는 등 2006년부터 일정금액 이상의 모든 공사에 최저가낙찰제와 시공실적을 적용키로 해 향후 지역 중소건설업체의 설자리는 갈수록 위축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향후 실적제한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어서 건설업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며 "공사수주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공실적 및 기술력을 착실하게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