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현금서비스 최저금리 '그림의 떡'

신용카드사 '연6%'는 소수 우량고객만 전용

신용카드사가 '연 6% 최저금리'와 같은 문구로 고객에게 현금서비스 이용을 권장하지만 이런 수준의 금리를 적용받는 것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19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전업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최저금리는 6~9%대에 달한다. 최고금리는 30%에 육박하고 실제로 가장 많이 적용받는 평균금리는 25% 안팎이다.

 

카드사별로 현금서비스 최저금리는 하나SK카드가 6.9%로 가장 낮고 롯데카드 7.

 

89%, 삼성카드 7.90%, 현대카드 8.50%, 신한카드 9.84%, 은행 회원사를 둔 비씨카드15.00% 등이다.

 

그러나 고객을 유혹하는 한자릿수 금리는 소수의 우량 고객에게만 해당하는 사항이다.

 

지난달 현금서비스 이용실적이 있는 회원을 기준으로 카드사마다 10% 미만의 금리로 현금서비스를 이용한 회원은 극히 적었다.

 

현금서비스 적용 금리가 10% 미만인 고객은 신한카드는 전체 이용자의 1.16%에 불과했고 현대카드 1.78%, 삼성카드 3.30%였다. 그나마 롯데카드 11.27%, 하나SK카드 12.34%였다.

 

은행계 카드사는 전업 카드사보다 상황이 더 좋지 않았다. 은행은 더 낮은 금리로 신용대출을 하기도 한다.

 

현금서비스 금리 10% 미만 적용 회원은 기업은행 0.03%, 농협 1.44%, 외환은행 1.48%, 수협 1.77%, 우리은행 2.59%였고 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은 최저금리가 각각 9.90%, 12.9%로 해당 고객이 없었다.

 

최저금리가 7.90%인 KB카드만이 비율이 16.10%로 눈에 띄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저금리를 적용받는 것은 아주 우량한 고객"이라며 "굳이 현금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은행에서 더 낮은 금리에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을 정도의 신용등급을 가진 사람들에게 해당하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결국, 무턱대고 '연 6% 최저금리'와 같은 문구에 현혹돼 무분별하게 현금서비스를 이용하지 말고 자신의 신용등급과 적용되는 금리를 꼼꼼히 따지는 합리적인 소비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산업·기업위메프 결국 파산···전북 기업들도 치명타

금융·증권차기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누구?…김성주 전 의원 등 4명 면접

산업·기업전북소비자정보센터, 제7회 전북공정무역 컨퍼런스 개최

영화·연극전주국제영화제, 김효정 프로그래머 선임

정치일반청년 떠난 전북에 50대가 돌아온다…50~64세 귀향세대 꾸준히 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