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해양쓰레기 수거에 국비 분담 늘려야

현재 국비·도비 5대 5 매칭
도내 연안 쓰레기 60%이상
배출보다 조류 의한 유입 커

▲ 무녀도 바다 앞에 밧줄, 폐스티로폼, 비닐 등 쓰레기들이 쌓여있다. 사진제공=군산시

군산시 등 전북지역 바다인근에 몰려드는 해양쓰레기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국비가 지원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군산시와 고창, 부안 등 도내 연안에 쌓이는 해양쓰레기는 전북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보다 조류에 의해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는 쓰레기가 많다.

여기에 전북뿐만 아니라 충남도 등 다른 지역도 조류에 의한 해양쓰레기 처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국비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4일 전북도에 따르면, 해양쓰레기 정화사업과 강하구 해양쓰레기 처리, 공유수면 정화사업 등 해양쓰레기 처리에 관한 5개 사업을 벌이는 데 투입되는 예산은 국비 50%, 도비 50%가 반영된다.

그러나 국비지원의 비중을 80%까지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쓰레기 수거량을 더 늘리기 위한 차원이다. 도는 최근 3년(2015년~2017년)간 47억 7700만원을 들여 5756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쓰레기 수거 업체의 인건비나 단가에 의한 영향도 있기 때문에 절대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국비가 어떻게 세워지냐에 따라 수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전북 인근 바다에서 나오는 해양쓰레기의 60%이상이 충남도 등 다른 지역 바다에서 흘러오는 조류에 의해 유입된다는 사실도 국비 확대 요구의 명분이다.

충남도도 도와 마찬가지로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을 벌이는 데 예산문제로 고심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쓰레기는 주로 PT병과 폐스티로폼, 마대, 비닐, 신발, 폐그물 등이다.

최종년 도 연안환경팀장은 “전북도 바다에는 충남도 바다에서 내려오는 조류에 의해 쓰레기가 쌓이고, 충남도는 서울 경기지역 바다에서 내려오는 쓰레기가 쌓이는 형국이다”며 “비단 일부 지역의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최 팀장은 이어 “여러 지역에 걸쳐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국비 지원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는 올해 21억 4100만원을 들여 군산과 고창, 부안 등지의 바다에서 210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계획이다. 해양쓰레기 정화사업비에 9억 원(800톤), 강하구 해양쓰레기 처리에 3억 원(250톤), 어로 작업 중 폐기물을 수매하는 데 6억 원(900톤), 공유수면 정화사업에 1억 9100만원(150톤), 어촌마을환경정비시범사업에 1억 원(1식)이 각각 투입된다.

김세희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이 정부 첫 예산안 경제부처 심사 돌입…728조 놓고 여야 공방

정치일반지방선거 경선 시작도 안했는 데 ‘조기과열’···전북서 극심한 피로도

자치·의회전북도-캠코, 유휴 국유재산 자활사업 모델 부상

사회일반전북서 택시 기사 등 운전자 폭행 사건 꾸준

전주전주시 기업 유치 헛구호 그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