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정당 위한 ’180일전 선출‘ 당헌 올해 첫 적용
’우리만 빨리 등판하면 약점노출‘ 우려 목소리 커져
대권 잠룡들 빨리 결정해 달라 요청
내년 대선에 나설 여권 내 잠룡들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경선 일정 연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야당에 비해 너무 빠른 대선후보 선출이 본선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지 않은 국면에서 사람들이 대거 모일 수밖에 없는 정치일정을 강행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논리다.
반면 이재명계는 이러한 주장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면서 당내 갈등으로 번질 조짐이다. 이낙연 전 대표와 정세균 전 총리 등 대권주자들이 송영길 대표에게 빠른 결단을 촉구하는 것도 경선연기론이 길어질수록 불필요한 갈등만 생길 여지가 높기 때문이다.
10일 민주당에 따르면 당헌 제88조(대통령 후보자의 추천)에서는 ‘대통령후보자의 선출은 대통령 선거일전 180일까지 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를 지지하는 측에선 당헌에서 정한 원칙을 깨는 게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느냐고 비판하고 있다. 원칙의 변경이 심판의 빌미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이견이 내부 분열로 치닫기 전에 송영길 지도부에서 빠르게 결론을 지어주는 게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야권 대권주자들의 윤곽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너무 이른 경선은 전략노출과 유권자들이 느끼는 신선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논쟁은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의원과 친문계로 분류되는 전재수 의원이 지난 6일 나란히 경선 연기론을 꺼내들면서 부터다. 이에 친문 주류와 맞대응을 삼가던 이재명계 의원들이 침묵을 깨고 “원칙을 지켜야한다”며 강하게 반발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송영길 대표의 경우 “그런 고민은 아직 안 한다. (당직)인선도 덜 끝났다”며 “정비가 된 다음에 차분히 생각해 보겠다”고 즉답을 피한 상황이다.
야권의 경선이 여당보다 훨씬 나중에 치러지면 야권에 외부인사가 많은 만큼 흥행이 그쪽으로 쏠릴 것이란 관측도 경선 연기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다만 연기 시 불필요한 출혈경쟁으로 민심만 나빠질 수도 있다.
민주당은 경선 연기 문제에 대해 결단을 해야하는 시점이다. 대선 180일 전 선출 규정에 맞춰 오는 9월 초 대선후보를 확정지으려면, 늦어도 다음 달부터 예비경선에 착수해야한다. 제반 절차를 준비할 경선기획단도 이달 중에는 꾸려야 차질 없는 진행이 가능하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10일 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선 경선연기론에 대해 “당이 빠른 시일 내 정리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당내 대선경선 연기론과 관련해 원칙은 존중돼야 한다는 말을 반복했는데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경선연기론에)여러 가지 고려사항이 있을 수 있다. “당이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정리를 늦지 않게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