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북자치도,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차단 총력

군산·익산·정읍 등 발생지 중심 단계적 수종 전환

Second alt text
전북특별자치도 전경/사진=전북도

전북특별자치도가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수종 전환 방제를 핵심으로 하는 종합 대책에 나섰다.

11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방제 기간 기준으로 집계한 도내 감염목은 약 1만 본으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이상기온과 온난화로 매개충의 활동기간이 길어지고 소나무 생육 환경이 악화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감염목은 군산시(41.4%), 익산시(13.7%), 순창군(12.9%), 김제시(10.4%), 정읍시(6.5%) 등 5개 시군에 84.9%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업은 최근 기후변화로 재선충병 피해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고사목 벌채 위주에서 탈피해 산림 복원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이를 통해 산림생태 회복과 재선충 확산 억제는 물론, 수천 톤의 산림 부산물 재활용으로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사업은 감염됐거나 감염 우려가 있는 소나무류는 제거하고 건강한 소나무류는 감염을 예방해 산림생태계를 유지·복원하는 산림재해 대응 사업이다.

그 중 수종 전환 방제는 집단 또는 반복 피해지역의 감염목과 주변 소나무류를 모두 제거한 뒤 재선충과 산불에 강한 내화수나 활엽수 등을 식재해 회복력 있는 산림으로 재생하는 방식이다.

단목 방제 지역에서 감염이 되풀이됐던 것과 달리 수종 전환 방제는 재감염률을 낮추고 예산 절감 효과가 커 비용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북도는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군산 옥구읍, 정읍 두승산, 김제 전군간 자동차 전용도로, 순창 동계·인계면 등 주요 집단발생지 460ha 이상을 대상으로 수종 전환 사업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행정절차가 완료된 지역부터 착수하며 단기 성과에 머물지 않고 장기적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피해 규모와 지형 특성에 따라 수종 전환과 함께 단목 제거, 소구역 모두베기, 강도간벌, 나무주사 등 다양한 기법을 병행한다.

도는 방제 과정에서 나오는 원목 및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가지, 잔목 등)를 목재칩이나 펠릿 등으로 재활용하는 자원순환형 방제체계 구축도 추진 중이다.

올해 80억 원을 투입해 6만여 본 제거, 나무 주사 522ha, 수종 전환 285ha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12월 말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내년에 45억 원을 확보해 수종전환 중심의 방제 전략을 도 전역으로 넓힐 예정이다.

김영호 기자

김영호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실시

사회일반문형배 전 헌재 소장 “지역균형발전은 좋은 정책 아닌 유일한 정책”

교육일반[NIE] 좁아진 일자리의 문과 해외로 향한 청년, 그 뒤에 남겨진 질문

스포츠일반[전북체육 종목단체 탐방] (13) 전북자치도씨름협회

오피니언[사설]새만금 글로벌청소년센터, 활용 방안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