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양계영의 베스트셀러 엿보기]최성현 '좁쌀 한 알'

 

이 책은 한국 생명운동의 대부로 불리는 무위당(혹은 조한알) 장일순 선생의

 

서거 10주기를 기념하여 추모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된 그의 일화집 겸 서화집이다.

 

교육자이자 서예가이며 70년대 반독재투쟁을 한 재야운동가로, 민주화 투쟁에 앞장 선 수많은 인사들의 정신적 지주로 큰 족적을 남겼던 장일순 선생.

 

생태운동가 최성현이 장일순의 글씨와 그림, 그의 일화를 정갈하게 엮어 펴낸 이 책에서 우리는 조한알 장일순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시인 김지하의 스승이고, '녹색평론'의 발행인인 김종철이 단 한 번을 보고

 

홀딱 반했다는 사람. 목사 이현주가 부모 없는 집안의 맏형 같은 사람이라 했고, 소설가 김성동과 '아침 이슬'의 김민기가 아버지로 여기고, 판화가 이철수가 이 시대의 단 한 분의 선생님이라 꼽는 사람. 일본의 사회평론가인 쓰무라 다카시가 마치 '걷는 동학' 같다고 했던 사람”. 책 날개에 적혀있는 장일순 선생에 대한 소개의 일부이다.

 

1980년대에 장일순은 자신의 호를 조한알(좁쌀 한 알)로 바꾸면서 말한다. "나도 인간이라 누가 뭐라 추어주면 어깨가 으쓱할 때가 있잖아. 그럴 때 내 마음을 지긋이 눌러주는 화두같은 거야. 세상에 가장 하잘 것 없는게 좁쌀 아닌가, 내가 조 한 알이다 하면서 내 마음을 추스르는 거지”라고.

 

장례식에 조문객이 3천명이나 모이고, 많은 이들이 그를 스승으로, 선각자로 추앙하였지만, 정작 본인은 평생 동안 무위의 삶을 살다 간 장일순 선생. 책 속에 실려 있는 그의 수많은 글씨 중에서 한 구절이 눈에 들어온다.

 

"버리고 또 버리면 거기에 다 있데요”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임승식 전북도의원 “인프라만 남은 전북 말산업특구 ‘유명무실’”

자치·의회김동구 전북도의원 “전북도, 새만금 국제공항 패소에도 팔짱만… 항소 논리 있나” 질타

국회·정당임형택 조국혁신당 익산위원장, 최고위원 출마 선언…“혁신을 혁신할것”

법원·검찰남편에게 흉기 휘두른 아내, 항소심서 집행유예

사건·사고‘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전북경찰청 간부, 혐의없음 종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