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용담댐 담수 10년, 빛과 그림자] "댐 모든 것 주민과 상의해야"

건설 초기부터 주민 의견 최대 수렴

나가시마댐 건설 당시 지역대책협의회 임원 이시이 히로토시 씨(69) (desk@jjan.kr)

"댐을 건설하면 수십, 수백년간 그 자리와 연을 맺고 살아온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됩니다. 그래서 반대도 많을 수밖에 없는데요. 최대한 주민들의 말을 막지 말고 자유롭게 의견을 내놓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나가시마댐 건설 당시 지역대책협의회 임원을 맡았던 이시이 히로토시 씨(69)는 댐은 주민의 협력이 없다면 건설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사후 관리 역시 어렵다고 강조했다.

 

나가시마댐은 건설 당시 지역철도노조에서 철로가 사라지고 일자리를 잃을까 두려워해 다소 반발이 있었지만 주민 전반적으로는 큰 반대는 없었다고 한다. 대신 주민들은 의견을 모아 더블댐을 건설해달라고 요구했고, 이 요구는 받아들여졌다.

 

"댐이 생긴 뒤 홍수 피해가 줄어 주민들의 삶의 질도 나아졌습니다. 또 지원을 받아 화장실을 수세식으로 바꾸고 축사도 없앴습니다. 댐의 수질을 지키기 위해 주민들도 나선 거지요."

 

히로토시 씨는 "일본 국민은 강 상류에 나무를 심으면 바다에서 물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류의 깨끗한 물을 만들기 위해 상류에 사는 주민들이 나무를 심어 숲을 더 만드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전에는 모든 분야에 전문가가 있다고 생각해 시민들은 행정에 모든 것을 일임했다"며 "하지만 정부 예산이 줄면서 시민들이 해야 할 일이 늘어나고 있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환경을 지키기 위한 시민들의 노력도 함께 커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간 일본은 댐의 건설과 사후관리에 대해 시민사회의 개입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1997년 하천법이 생긴 뒤 많은 변화가 생겼다.

 

전국물환경교류회 야마미치 쇼조 대표이사는 "교토 요도강 유역에는 댐 건설업자와 학자, 시민이 환경에 대해 논의하는 협의회인 '인회'가 정부 인정을 받고 활동하고 있다"며 "아직 모든 유역이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댐의 건설과 관리까지 시민사회의 영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임상훈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회일반[수능 이모저모] “사대부고 아닌가요?”⋯ 시험장 착각한 수험생들

대학[수능] '여기가 아닌가벼' 학교명 비슷해 시험장 착각한 수험생들

대학수능 출제위원장 “적정 난이도 출제…사탐런 유불리 없을 것”

군산군산 배달의명수, 50억 원 매출 ‘초읽기’

사람들한국신문협회 디지털협의회 ‘AI와 뉴스의 미래’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