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빚 잘갚은 자영업자, 햇살론 받기 쉬워져

서민에게 긴급 자금을 빌려주는 '햇살론'의 대출 심사기준이 유연해진다.

 

영세 자영업자의 창업자금과 운영자금을 빌려주는 미소금융 사업엔 지역 사정에 밝은 인사들이 대출 적격자를 추천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열린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서민금융 활성화 계획을 보고했다.

 

금융위는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0 대신 종합신용평가모형을 개발, 햇살론 대출금액이나 보증한도를 정하기로 했다.

 

햇살론은 연소득이 2천600만원 이하거나, 신용등급 6등급 이하면서 연소득이 4천만원 이하면 연 10~13%의 금리로 긴급생계자금과 창업자금 등을 빌려주는 제도다.

 

그런데 햇살론 심사기준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적용하다 보니 소득을 증명하는 게 쉽지 않은 자영업자는 자금 융통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7월 도입된 햇살론은 약 11개월 동안 1조6천억원이 대출돼 연간대출목표 2조원에는 다소 못 미쳤다.

 

금융위 안형익 서민금융팀장은 "종합신용평가모형을 도입하면 소득뿐 아니라 대출상환실적 등이 고려돼 DTI보다 유연하게 대출심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금리 대출의 대환(빚을 갚기 위한 대출)을 목적으로 한 햇살론은 대출한도를 상향 조정하는 한편, 일주일 넘게 걸리던 심사기간도 최대한 줄이기로 했다.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7등급 이하 서민에 최고 연 4.5% 금리로 창업자금과 운영자금을 빌려주는 미소금융은 전국 2천47개 지점이 '지역 밀착형'으로 운영된다.

 

지방자치단체, 대학, 종교단체, 상인단체, 언론사 등과 협의체를 꾸려 지역사정에 밝은 사람들이 대출 대상자를 추천한 경남 거제지점이 모범사례로 제시됐다.

 

또 세탁업중앙회, 미용사협회, 한국화원협회 등 17개 자영업단체와 300여개 상인회의 도움을 받아 지원대상을 발굴하기로 했다.

 

미소금융 대출을 받고도 사업이 좀처럼 잘 풀리지 않으면 업종 전문가 등 1천명이상이 참여한 '성공 노하우 전수단'이 도움을 준다.

 

대학생과 회사원 등 자원봉사인력 3천여명이 참여한 '미소희망봉사단'은 부족한 일손을 돕는다.

 

금융위는 이 밖에 신용회복위원회와 지원협약을 맺은 참여기관을 늘려 채무조정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성실하게 빚을 갚는 지원자에게 지원하는 긴급 생활안정자금 규모는 지난해 700억원에서 올해 최대 1천200억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우리가 황교안이다”…윤어게인

정읍전북과학대학교 제8대 김상희 총장, 지역이 필요로 하는 대학으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 앞장

정치일반강훈식 비서실장 발언 두고…‘새만금 공항 저격론’ 무성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③ AI 이후의 세계 “지금 태어나는 세대, AI 없는 세상 경험하지 못할 것”

자치·의회김슬지 전북도의원 “중앙부처·산하기관 파견인사, 기준과 절차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