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한은 "저축은행·카드사 부실 위험 커져"

카드사나 저축은행 등 일부 비은행기관에서 부실화 조짐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업계의 경우 은행들의 잇따른 카드사 분사에 따른 외형확대 경쟁으로 다중채무자를 대거 양산해 부실화 위험이 나타났고, 저축은행은 고객 불신 속에서 부진한 경영실적을 보이며 추가 부실 우려를 낳고 있다고 한국은행은 지적했다.

 

◇ '껍데기'만 커진 카드업계

 

한은이 30일 내놓은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국내 은행들이 카드사업부를 독립된 카드사로 분사하는 등 카드영업을 강화함에 따라 카드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외형확대가 빠르게 진행됐다.

 

지난해 중 카드사의 마케팅 비용은 전년보다 30.3% 늘었고, 카드발급 수도 지난해 말 현재 1억2천만장으로 카드사태 직전인 2002년 말의 1억장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카드 이용실적은 10% 가까운 성장세를 지속했고, 특히 카드대출의 일부인 카드론은 42.3%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거대해진 외형만큼 위험도 커졌다.

 

우선 다중채무자와 복수 카드론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카드사 대출자산의 부실화 위험이 커졌다.

 

지난 3월 말 카드론 이용자 중 52.9%가 다른 금융권에서도 신용대출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카드론과 다른 금융권 신용대출을 함께 이용하는 다중채무자는 2009년 말1천600만명에서 지난 3월 말 1천800만명으로 13.7% 늘었고, 여러 건의 카드론 대출을 받는 복수 카드론 이용자도 같은 기간 90만명에서 110만명으로 22.2% 증가했다.

 

더욱이 카드사는 예금 등의 수신기능이 없어 자금조달을 시장성 채권 발행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경기둔화나 금융시장 경색 시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크다.

 

한은은 "경기가 둔화될 때 카드사에 자금을 공급하는 은행이나 자산운용사 등이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에 나선다면 카드사의 유동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저축은행 추가 부실 가능성 대두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이로 인한 영업정지 사태를 맞았던 저축은행은 고객의 불신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추가 부실 가능성이 대두됐다.

 

올해 들어 영업정지된 저축은행뿐 아니라 나머지 정상영업 중인 91개 저축은행의 부실도 상당 부분 현재화됐지만, 대손적립금은 충분치 않은 상태다.

 

91개 정상영업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 비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67.2%에 불과하다.

 

또 환매 또는 사후정산을 조건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한 부동산 PF 대출채권(원금기준 7조4천억원)에 대해서도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상황이라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어 정상영업 중인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대출 부실화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91개 정상영업 저축은행의 총대출 대비 부동산 PF 대출비중은 10%가량으로 2차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의 절반에도 못 미치지만, 부동산 PF 대출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은은 또 경영실적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달 18일 감독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요구 및 적기시정조치 유예를 받은 6개 저축은행이 경영개선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다면 추가 영업정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 경우 저축은행업계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거액 예금을 중심으로 예수금 인출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한은은 "저축은행의 경영실적 개선이 지연돼 업계 전반에 대한 불신이 이어진다면 예수금 유치나 후순위채 발행 등 자금조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정책당국이 부실 징후 저축은행에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우리가 황교안이다”…윤어게인

정읍전북과학대학교 제8대 김상희 총장, 지역이 필요로 하는 대학으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 앞장

정치일반강훈식 비서실장 발언 두고…‘새만금 공항 저격론’ 무성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③ AI 이후의 세계 “지금 태어나는 세대, AI 없는 세상 경험하지 못할 것”

자치·의회김슬지 전북도의원 “중앙부처·산하기관 파견인사, 기준과 절차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