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이전 도내 기업들 "인력 구하기 어렵고 행정규제도 지나쳐"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내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수도권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으나, 최근 3년간 전북지역에서 기업을 운영하다 수도권으로 이탈한 기업체가 무려 290개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 박준영 의원(영암·무안·신안)이 국세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적으로 볼 때 최근 3년간 지방에서 기업을 하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으로 역 이전한 기업체 수는 4,872개에 달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충청권이 1,787개로 가장 많았고, 호남권 959개, 부산 경남권 888개, 대구 경북권 678개, 강원 440개 기업이 수도권으로 본사를 옮겼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제조업, 도매업, 서비스업 순이다.
이 기간에 도내에서 수도권으로 이전한 기업체 수는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83개였고, 2015년에는 124개 등 총 290곳이나 됐다.
같은 기간 수도권에서 전북으로 이전한 기업체는 2013년 122개, 2014년 146개, 2015년 186개 등 454개에 달했다.
이는 결국 도내 자치단체가 고용창출과 지방세수 확보를 위해 기업유치에 사활을 걸고 나서면서 도내로 유입되는 기업체가 많이 늘어났지만, 기존에 도내에 있던 기업들 중 상당수가 수도권으로 이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국세와 지방세 등 각종 세제 혜택은 물론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음에도 기업들이 다시 수도권으로 돌아가는 것은 그만큼 지방에서 기업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도내 제조업체 440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6년 9월 전북지역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내 제조업체들이 느끼는 가장 큰 경영애로 사항은 내수부진(31.0%), 불확실한 경제상황(18.2%), 경쟁심화(7.8%), 자금부족(7.6%) 순이었다.
이에 대해 도내 기업인들은 “지방에 정착했던 기업들이 떠나게 되면 지방 경제가 더 어려워지고 종업원들도 떠나게 돼 결국은 지방의 인구도 더 줄어들고 수도권만 점점 과밀해질 것”이라면서 “지방에서 많은 기업이 보다 쉽게 창업하고 자유로운 기업 활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도내 한 중소기업체 사장은 “특히 지방에서 기업하기 어려운 것은 구인난과 더불어 과도한 행정규제 등이다”며 “산토끼를 잡기 위해 집토끼를 놓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충고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