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한자교실] 생애(生涯)

생애(生涯)

 

날 생(生), 끝 애(涯)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라는 의미로 살아 있는 한평생 동안

 

“우리들의 생애(生涯)가 짧은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스스로 짧게 하고 있다. 또, 우리들에게 그것이 모자라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그것을 낭비하고 있다.”는 말이 있다. 한평생을 ‘생애(生涯)’라고 하는데 말 그대로의 뜻은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라는 의미이다.

 

‘천애(天涯)의 고아(孤兒)’라는 말을 가끔씩 듣는데 이 때의 ‘천애(天涯)’는 하늘의 끝, 아득히 멀리 떨어진 낯선 곳이라는 의미이다. ‘厓’는 ‘언덕 애’, ‘崖’는 ‘낭떠러지 애’, ‘ ’는 ‘눈흘길 애’이다.

 

흔히 ‘날 생’이라고 일컫는 ‘생(生)’은 생산(生産)·생일(生日)·생육(生育)에서는 ‘출생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생명(生命)·생리(生理)·생존(生存)·생활(生活)에서는 ‘삶’, 생장(生長)에서는 ‘자라다’, 생소(生疎)·생경(生硬)에서는 ‘서투르다’, 생기(生氣)·생동(生動)·생선(生鮮)에서는 ‘싱싱하다’는 의미이고, 선생(先生)·학생(學生)·소생(小生)에서는 ‘선비나 자기의 겸칭’ 또는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쓰인 것이다.

 

“인간의 생애(生涯)란 세월의 한 순간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세월이 존속하는 동안은 그것을 향락하도록 하자. 그리고 무모하게 낭비하지 말자”라는 말이 있다. 플루타르크 영웅전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孔子)는 효(孝)를 이야기하면서 “생즉친안지(生則親安之)”라고 하였다. 살아 계신 동안에 부모님을 편안하게 모셔야 한다는 말이었다. “생년불만백 상회천세우(生年不滿百常懷千歲憂)”라는 시구(詩句)가 있다. 사람이 살아도 백세를 못다 살면서 언제나 천 년의 근심을 가슴에 품고 있다는 의미이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자동차융합기술원-현대차·기아, 미래 상용차 기술협력 맞손

정치일반대통령실, ‘대결적 기도’ 北논평에 “적대·대결의사 없어…신뢰회복 노력”

정치일반전북, 노인일자리 참여율 전국 최고… “노인 5명 중 1명 일한다”

교육일반교원3단체 설문, 고교학점제 미이수 “10명 중 6명 문제학생여겨”

오피니언[전북아동문학회와 함께하는 어린이시 읽기] 내 짝꿍-박서준 전주서곡초 5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