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토우(土雨)

<삼국사기나> 나 <증보문헌비고> <고려사> 등 과거 문헌기록을 살펴보면, 우리 선조들도 황사를 관측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예로부터 먼지가 떨어지는 현상을 ‘토우(土雨) ‘라 했는데, 국립국어연구원(1999)의 우리말사전에도 ‘흙비’를 ‘바람에 높이 날려 비처럼 떨어지는 모래흙’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 15일 몽골과 중국 북부지방에서 다시 황사가 발원했다. 주로 중국북부와 중국 동안으로 지나겠지만, 그 중 일부가 우리나라 상공을 지나면서 낙하해 오늘까지 옅은 황사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북동지방에 위치한 저기압이 정체하면서 오늘 황사가 추가 발원할 가능성이 있고, 발원량과 기류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발표되는 기상정보를 잘 참고해야겠다.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대학[수능] '여기가 아닌가벼' 학교명 비슷해 시험장 착각한 수험생들

대학수능 출제위원장 “적정 난이도 출제…사탐런 유불리 없을 것”

군산군산 배달의명수, 50억 원 매출 ‘초읽기’

사람들한국신문협회 디지털협의회 ‘AI와 뉴스의 미래’ 세미나 개최

정치일반새만금공항 집행정지신청 심리 종결…선고일 추후 지정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