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항일 독립주의자 후암 김창석 삶 조명…'후암문집' 국역본 발간

후암 아들 김돈기 정리한 자필고본, 완산역사문화연구회가 국역 발간 
후암의 유산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후세에 남기고자 추진

image
후암문집 표지. 

 

유학자 후암(後菴) 김창석(金昌碩 878~1946)은 일제에 협력하지 않은 항일 독립주의자로 유명하다. 일찍이 과거시험에 뜻을 두고 면학했지만, 구한말 부패한 위정자들과 일제의 침략으로 뜻을 접어야 했다. 이후 칠보와 태인에 은거하며 뜻을 함께하는 문인들과 시문을 창작하고, 후학을 가르치는데 집중했다. 

유학자 후암의 철학과 삶을 국역해 정리한 <후암문집>(흐름)이 출간됐다. 후암의 아들 김돈기(1905~1989)가 정리한 자필고본을 바탕으로, 완산역사문화연구회가 국역해 발간했다. 국역 사업은 후암의 유산을 현대적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후세에 남기기 위해 추진됐다. 

image
후암 김창석. 

책에는 조선말과 일제강점기, 광복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시대를 살다 간 유학자 후암의 삶을 풀어낸 시와 글 1000여 편이 실려 있다. 창씨개명과 단별령을 끝까지 거부하고, 두 아들에게도 이를 실천하도록 강조한 후암의 절개와 결기를 느낄 수 있다. 

“캄캄한 밤에 비바람 소리 처량하더니/그 재앙이 공자묘와 무덤까지 미쳤네/광 땅의 포위 혹독했으나 문은 길이 남았는데/환퇴의 도끼가 얼마나 많던지 나무도 기울었네/악행을 흘러내리게 한다면 동해도 마를 것이고/죄를 칭량(稱量)할 수 있다면 태산도 가벼우리/어떡하면 의기로 사람마다 홍기하게 하여/우리의 수치 모두 씻어 세상을 다시 맑게 할까”(‘곡부의 변고 뒤에 제가의 성토 시운을 쓰다’전문)

후암은 가난에도 뜻을 바꾸지 않고, 위세와 무력에도 고집스럽게 강한 절개를 보여준  유학자의 면모를 잃지 않는다. 특히 삶의 자세가 어떠한 무력시위보다도 강하였고, 지속되었음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후암의 정신은 그의 손자들에게까지 뻗쳐 훗날 일제 신학문과 박해를 거부하는 등 투철한 민족정신을 전승해갔다. 

후암의 자필고본을 국역한 김순석 박사는 “후암 같이 선비정신을 국난에서도 실천적으로 보여 주었던 각 고을의 유림들을 세상에 드러내는 일이 전통을 잇는 일”이라며 “문집 발굴 번역과 연구 논문으로 이어져 향토문화가 더 구체적이고 풍성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우리가 황교안이다”…윤어게인

정읍전북과학대학교 제8대 김상희 총장, 지역이 필요로 하는 대학으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 앞장

정치일반강훈식 비서실장 발언 두고…‘새만금 공항 저격론’ 무성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③ AI 이후의 세계 “지금 태어나는 세대, AI 없는 세상 경험하지 못할 것”

자치·의회김슬지 전북도의원 “중앙부처·산하기관 파견인사, 기준과 절차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