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줌] 지역의료 공백 위기 ‘AI 진료지원’ 구상 노승무 장수군보건의료원장

공중보건의 8명 전역, 의료 공백 현실로
지역의료 생존 위해 진짜 위기 대비 필요

노승무 의료원장

“장수는 의사가 부족한 의료원만 빼면 너무 좋은 곳입니다.”

지난 10월 장수군보건의료원에 부임한 노승무 원장(76)은 특유의 미소 뒤에 깊은 고민을 숨기지 않았다.

한 번 스쳐 지나가 본 적도 없던 장수에 정착을 결심한 이유도 단순했다. “40년 지기 친구인 조백환 진안군의료원장의 권유, 그리고 아내의 마음”이었다.

하지만 부임 직후 마주한 현실은 녹록치 않다.

장수군 인구는 2만 명에 65세 이상 비중이 41%에 달하는 초고령 지역이다.

의료 접근성이 곧 생명권과 직결되는 곳이다.

“지금 공보의가 18명인데 내년 봄이면 8명이 전역합니다. 그중 6명이 의사입니다”

장수군 5개 보건지소는 전원 공석이 된다.

“전북도에 요청해도 줄 의사가 없습니다.”

현재 4명 교대체제인 응급실도 내년이면 2명 이하로 줄어드는 상황이다.

“응급 대응조차 불안해지는 상황입니다”

그는 “대학병원 진단은 멀어 어쩔 수 없지만 관리·처치는 장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장수군보건의료원을 첨단수술보다 만성질환 관리, 복합질환 통합 케어, 응급 초기대응 및 전원체계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

또 의사가 부족한 상황에 대한 노 원장의 해법은 인공지능(AI)이다.

장수에서 가장 흔히 발병한 질환 100개를 증상 입력 → 초기진단 → 안전한 처방 추천까지 자동화한 기본진료지원 시스템 구축이 목표다.

“젊은 의사들이 ‘누르고 확인’만으로 진료하도록 돕는 겁니다”

X-ray AI 판독기, CDSS 연동도 검토 중이다. 예산은 2000여만 원이면 1단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노승무 원장은 “보건의료원은 장수의 마지막 생명선입니다. 지금 필요한 건 생존전략입니다” 이를 위해선 “취약지 의사 가산제, 전문의 순환근무제, 응급 골든타임 보장체계 등 중앙정부·전북도의 정책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 장수군은 농촌이 가장 먼저 맞이할 미래를 보여주는 시험장이다.

지방소멸과 의료 사막화, 그 최전선에서 노승무 원장의 도전이 ‘생명권 사수’의 디딤돌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노승무 원장의 학력 및 주요 경력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 전북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 교수 (2001~2014)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장 (2002~2004)

-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장 (2002~2004)

- 충남대학교 암공동연구소 소장 (2002~2004)

- 충남대학교 외과과장 (2005~2006)

- 근로복지공단 대전병원장 역임 (2016~2017)

- 세종시복지재단 대표이사 (2018~2020)

장수=이재진 기자

이재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실시

사회일반문형배 전 헌재 소장 “지역균형발전은 좋은 정책 아닌 유일한 정책”

교육일반[NIE] 좁아진 일자리의 문과 해외로 향한 청년, 그 뒤에 남겨진 질문

스포츠일반[전북체육 종목단체 탐방] (13) 전북자치도씨름협회

오피니언[사설]새만금 글로벌청소년센터, 활용 방안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