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화합 분위기 속 역풍 우려해 후보들 언급 꺼려
지역 일꾼을 선출하는 제5회 전국동시 지방선거가 2일 끝난 가운데 이번 선거운동기간 부안 방사성폐기물(이하 방폐장)사태가 더이상 쟁점으로 부각되지 않아 당초 일부에서 제기했던 우려는 기우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나다.
부안지역 주민들간 유치 찬반 대립으로 극심한 갈등과 분열·아픔을 초래해던 지난 2003년 방폐장 사태는 이후 지방선거운동 기간 때마다 불거져 쟁점이 되고 찬반 지역주민간 갈등이 재연됐었다.
부안방폐장 유치를 주도했던 김종규 전군수가 군수 후보로 출마했던 2006년 5월 지방선거와 2007년 12월 군수재선거 운동기간 때에 방폐장 사태 문제가 이슈로 등장한 것들도 그 한 예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일부 언론과 정치권·주민 등이 김종규 전 군수가 군수 후보로 출마한 이번 지방선거운동 기간에도 방폐장 사태 문제가 쟁점의 하나가 될 것이라는 예단을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선거운동기간에는 새만금 관광시대 부안 발전방안·대가성 직원채용 의혹 제기와 관련된 흑색 및 비방문제·육가공 제조업체인 <주> 참프레 유치 적절성 문제 등이 군수후보들간 공방 이슈가 됐을 뿐 방폐장 사태문제는 쟁점이 되지 않았다. 주>
이는 군수 후보 방송합동토론회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치유책에 대해 묻기도 했지만 방폐장 찬반측이나 후보자및 후보자 진영 등에서 방폐장 문제를 거의 꺼내지 않는 등 선거운동 이슈로 삼지 않았기 때문이다.
방폐장 문제가 쟁점이 안된 것과 관련, 방폐장 백서가 발간되는 등 그동안 깊게 패인 주민간 갈등과 분열양상이 추스려는 노력들이 기울여져 화합의 분위기가 조성되고 상처가 아물어 가는 상황에서 방폐장 문제 거론으로 오히려 역풍을 맞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 서로 꺼내지 않은 것 같다는 해석을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