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화 의원(인후3동, 우아1·2동)= 전주시는 시청 로비에 시민을 위한 열린 공간의 일환으로 ‘전주책방’을 열었다. 시청을 더 많은 시민들이 찾는 만남과 소통 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취지에 일부 공감하지만 ‘전주책방’의 테마 선정 및 운영 방식에 아쉬운 점이 있다. 현재 전주책방은 북 카페의 역할 이외에는 확실한 정체성이 없는 운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주책방에 걸맞은 도서전시와 운영 프로그램, 전주시와 시민이 소통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공공기관 퇴근 후 또는 주말에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하며, 전주정신과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이 주체가 되는 토론의 장이 마련돼야 한다.
△송정훈 의원(조촌·동산·팔복·송천2동)= 항공대 이전은 35사단 이전과 함께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였음에도 전임 시장과 현 시장은 이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 항공대의 이전을 확정하면서 주민의 의사를 전혀 고려하지 않아 도도동 일대 주민들에게 큰 상처로 남아 있다. 전주시의회와 전주시는 고향과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의 아픔을 진정으로 헤아려 주길 바란다.
△이미숙 의원(효자 3·4동)= 효자공원묘지 주변이 개발되면서 이전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효자공원묘지 이전은 또 다른 지역에 시설을 신설하는 것으로 그에 따르는 비용과 지역주민의 민원을 예상해 볼 때 극히 비효율적인 정책이다. 묘지이전에 따른 막대한 예산투입과 지역민 간의 갈등과 분열에 의한 큰 손실이 불 보듯 뻔하다. 현 효자공원묘지는 이전할 것이 아니라 공원화 사업으로 추진해야 하며 공원 내에 승화원 신축사업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 효자공원묘지의 공원화 사업으로 공원과 추모공간이 공존하는 공간이 만들어지길 희망한다.
△서선희 의원(서신동)= 지속 가능한 생태도시는 전주시의 가장 중심이 되는 목적이고 테마다. 그런데 전주시의 공원녹지 관련 예산 및 인력은 화려한 생태도시 실천 구호와 맞지 않는 상태다. 2008년 대비 공원은 75개소, 면적은 16만9천㎡가 증가한 반면 인력은 2명이 감소했다. 녹지분야 또한 가로수, 수벽, 녹지 등 전체 면적이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인력은 1명이 감소한 상태다. 진정한 생태도시의 실현을 위해 공원녹지 분야에 행정직 시설직 등 비전문직을 지양하고, 정원규칙에 전문직렬을 단수로 명시해야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