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문화특별시' 정책 세미나 / 한지·목공예·음식 등 시·군 연계 산업화해야
전주를 기반으로 전북, 나아가 인근 지역까지 이어지는 전통문화벨트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원도연 원광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는 15일 오후 전주 한벽문화관에서 열린 ‘전주문화특별시 지정 및 지원특별법 제정’정책세미나에서 ‘전주전통문화특별시의 의미와 발전방향’ 주제발표를 통해 “전주 전통문화특별시 지정은 전주의 전통문화산업 뿐만 아닌 전북의 각 시군과 연계해 지역발전 자원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원 교수는 “한지산업의 경우 전주와 완주, 임실, 남원으로 연계되는 전통문화자원을 강화하고 이를 연계해 산업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목공예 역시 짜맞춤가구와 옻칠공예 등이 발달한 남원, 고창과 연결해 새로운 산업적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음식 산업도 순창과 완주, 익산 등과 연계하는 전략을 통해 전북 전체를 전통문화벨트로 구축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주를 중심으로 한 전통문화벨트 구축이 전북에서 활성화되면 공주와 부여·안동·경주·광주 등 인근 지역과 전통문화·역사문화·영상문화·아시아문화 등을 주제로 연계하고, 역할분담을 통해 전통문화산업이 국가산업이자 한류산업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발전시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수 있다”고 말했다.
‘전주 전통문화특별시 추진의 국내외 사례와 합리적 추진방안’을 주제로 발제한 안영훈 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치권과의 공조를 통해 전주시만의 보다 전략적이고 실효성 있는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 연구위원은 “전주시는 문화도시로서의 문화유산, 유무형문화재 등에 관련한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실천되도록 보완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토론에 참여한 김준호 전북일보 편집국장은 “문화특별시 지정은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과거 정부의 개발 및 문화정책에서 소외된 전주를 글로벌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문화산업도시로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조강연에 나선 김명곤 전 문화관광부 장관은 “연간 1000만명의 관광객이 찾는 지금의 한옥마을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닌 오랜 기간의 노력과 전주가 지닌 전통문화의 저력으로 이뤄진 결실”이라며 “전주 문화특별시 지정을 국가적 과제로 만들어 전주를 통해 한국의 전통문화가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승수 전주시장과 김명지 전주시의회 의장, 김춘진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을 비롯한 지역 정치권과 문화계 인사 등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이종민 전북대 교수를 좌장으로 이병문 KBS전주방송총국 보도국장, 이기동 전주시의회 의원, 이영욱 전주대학교 교수, 이순자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김동영 전북연구원 연구위원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