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당 등 핵심건물 7동 / 2019년 공사 마무리
전라감영 복원을 위한 첫 삽을 떴다.
전라북도와 전주시, 전라감영 복원 재창조위원회는 16일 현장에서 전라감영 복원을 알리는 고유제 및 기공식을 지냈다.
전라감영 복원은 전북도청이 신시가지로 이전하면서 공론화된 이후 발굴조사 등을 거쳐 복원 건물과 활용방안 등이 마련됐다.
복원 대상은 전라감사 집무실인 선화당과 내아, 내아행랑, 관풍각, 연신당, 내삼문, 외행랑 등 전라감영 핵심건물 7동이다.
내아와 연신당은 전라감사 가족이 살던 관사이고, 관풍각은 고위 관료를 맞았던 사랑방, 비장청은 전라감사를 보좌하던 벼슬아치들의 사무실이다.
전라감영 복원은 유구 흔적과 고지도·문헌 등의 기록을 토대로 원형에 가깝게 하고, 증강현실 등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콘텐츠도 확충할 계획이다.
모두 84억원을 들여 선화당을 우선 복원하고, 2018년 10월 18일로 예정된 전라도 개도 천년 행사를 이곳에서 열 계획이다. 복원공사는 2019년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전라감영 복원, 하늘에 아뢰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기공식에는 송하진 전북도지사와 김승수 전주시장, 김명지 전주시의회의장, 이명우 전라감영 복원 재창조위원회 위원장, 윤석정 전북일보사 사장 등 기관단체장과 도·시의원, 전라감사 후손 등이 참석했다.
송 지사는 축사를 통해 “전라감영은 한옥마을과 경기전, 전동성당, 풍남문, 풍패지관까지 이어지는 전통문화유산의 거리로 재창조돼 구도심 활성화에 기여하고, 역사·문화 중심지로 거듭나 전주의 영광을 재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시장도 “복원될 전라감영은 전주의 자긍심이자 아시아문화심장터로서 자리 잡게 될 것이며, 전주의 미래가 담긴 핵심적인 공간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고유제에는 창녕 조씨 대종회 등 전라감사 후손 문중 10여 곳에서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