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작년 하반기 대규모 부실채권처리를 통해 부실채권비율을 크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18개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1.22%로 6개월 전에 비해 0.29%포인트 낮아졌다.
은행권이 금융당국의 부실채권 목표비율 지도에 따라 하반기 중 17조7천억 원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한 결과다.
금감원은 작년 말 예기치 못한 금호계열사와 일부 조선사의 워크아웃 추진으로발생한 부실채권(3조 원 규모)을 제외하면 은행권 부실채권비율은 0.99%로 당초 목표비율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7월 은행권의 부실채권비율을 연말까지 평균 1% 수준으로 낮추도록 유도하겠다고 발표했다.
은행별로는 15개 은행이 목표비율을 달성했지만, 3개 은행은 근소한 차이로 목표비율에 미달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여신의 부실채권비율이 작년 말 1.58%로 6개월 전과 비교하면 0.33%포인트 하락했다.
이중 중소기업 부실채권비율은 1.82%로 0.67%포인트나 낮아졌다.
가계여신의 부실채권비율은 0.48%로 같은 기간 0.16%포인트 낮아졌고 이중 주택담보대출은 0.37%로 0.1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실적은 총 29조7천억 원으로, 정리방법별로는대손상각(9조5천억 원), 담보처분에 의한 회수(5조8천억 원), 여신정상화(5조 원),매각(4조1천억 원), ABS(3조8천억 원) 순으로 규모가 컸다.
금감원은 경기침체와 구조조정 추진 등으로 지난해 신규 부실 발생규모가 30조7천억 원으로 2007년(12조 원)이나 2008년(20조9천억 원)에 비해 크게 늘었으나 은행의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로 부실채권비율이 하향 안정세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부실채권의 적극적인 정리를 통한 은행 자산건전화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