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3 22:08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금융·증권
일반기사

보험설계사, 젊어지고 학력 높아졌다

보험 설계사가 '보험 아줌마' 이미지에서 탈피해 젊어지고 학력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보험 상품이 복잡해지면서 전문성을 요구하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청년 실업과도 무관치 않다.

 

보험사들은 젊은 설계사들을 통해 '인맥'이 아닌 '전문성'을 앞세운 영업 방식 시험에도 나섰다.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2009년도 생명보험사 설계사 중 대학(전문대 포함) 졸업자는 2만7653명으로 전체 설계사의 16.9%에 달했다. 이는 10년 전인 1999년도의 6.7%(1만6253명)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다.

 

비중이 가장 컸던 고졸자는 90.0%(21만7372명)에서 37.6%(6만1473명)로 크게 줄었다. 중졸 이하 학력자도 7496명에서 1248명으로 감소했다.

 

설계사의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삼성생명, 교보생명, 대한생명 등 소위 생보사 '빅3'의 전체 설계사 평균 연령은 41~42세이다. 보험사 주축이 1990년대까지 40~50대였으나 2000년대 들어 30~40대로 이동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물론, 2009년도 기준으로 생보업계에는 60세 이상 설계사가 3443명 활동했고 아직 미수(米壽)의 설계사도 있다.

 

고학력의 젊은 설계사가 많아진 것은 '아줌마 영업'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점차 보험이 전문성이 요구되는 직업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최근 보험 상품 중에는 담보가 100개 넘는 것도 있다. 또 단순히 보험 상품만 파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종합 재무설계를 담당하는 금융전문가를 요구한다.

 

이 때문에 보험사 중에는 설계사를 선발할 때 가능한 한 특정 연령 이상은 뽑지않는 곳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젊은 설계사 조직은 청년 실업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설계사 중 대졸자가 상당히 많아졌고, 특히 젊은 남성 설계사의 진입이 눈에 띈다.

 

생보사에 남성 설계사는 2009년도 25~29세 6917명, 30~34세 1만48명, 35~39세 1만752명이었으나 10년 전에는 각각 3398명, 3835명, 2692명에 그쳤다. 전체 설계사가 7만8천명 줄어든 동안 젊은 남성 설계사는 오히려 두배 이상 늘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