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5 13:45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일반기사

[리뷰] 새만금상설공연 '아리울 스토리'

작년보다 세밀한 무대 구성 /  관객 박수 유도 몰입도 높여

 

힘이 넘치는 공연이다. 그리고 예상을 뛰어넘는 수작이다.

 

날씨 좋던 지난 26일 새만금 방조제를 찾아 ‘2015 새만금상설공연 아리울 스토리’를 관람한 상춘객들은 공연장을 나오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한껏 고무되고 들뜬 표정을 지었다.

 

비록 장소는 조립식 건물이었지만, 사운드가 웅장했고 소리의 뻗음이 막힘이 없어 경쾌한 느낌을 줬다. 약 34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객석은 지그재그모양으로 배치돼 시야의 가림도 없었다. 또 지난해와 달리 무대 바닥에 유리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검정색 ‘호마이커’를 깔아 조명의 반사효과를 극대화했다. ‘바다위의 새 땅’, ‘판타지’라는 특성에 따라 몽환적인 파란색 조명이 많이 사용되는 공연에서, 호마이커는 빛을 반사해 물이 객석 가까이 넘실대는 듯한 느낌을 줬다.

 

무대 전면에 금동 대향로를 배치해 지역의 백제와의 연관성을 강조한 점이 눈에 띠었다. 또 지난해와 달리 2단으로 무대를 꾸미고, 동굴 등을 만들어 더 세밀하게 구성했다.

 

안무에서는 태권도의 ‘학다리 서기’, 합기도의 ‘전방 낙법’ 등을 응용한 ‘태권무’를 선보인 남성 무용수들의 군무, 사물놀이의 ‘자반 뛰기’를 가미한 ‘마샬아츠’가 특히 좋은 볼거리였다. 태권무는 남성의 우렁찬 기합과 절도 있는 동작으로 에너지를 듬뿍 발산해냈다.

 

비교적 부담 없이 보러오는 공연이기 때문인지, 관객들은 극 중 이 같은 보기 드문 동작들이 눈앞에서 펼쳐질 때마다 다양한 감탄사와 커다란 박수로 화답했다. 역동적이고 활력 있는 공연에 관객들은 ‘예상 밖의 수작을 만났다’는 반응 표출을 아끼지 않았다.

 

또 여주인공 ‘아리’가 악역 ‘반고’에게 쫓길 때 배우들의 동작 뒤로 ‘반고’의 그림자를 크게 비치게 하고 ‘아리’가 쫓기는 것을 작은 실루엣으로 독특하게 표출했다. 관객에게 박수를 유도하며 공연에 참여시킨 점은 극에 대한 집중력과 몰입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죽은 ‘아리’를 살리기 위해 남성과 여성 총 14명의 무용수가 함께 북춤을 춘 장면은 장관이었다. ‘석궁 레이저 크로스’, ‘깃발을 교차해 휘날린 것’ 등도 인상적이었다.

 

홍승광 전주세계소리축제 상설공연추진단장은 “예전보다 바다 영상을 추가해 새만금의 특성을 더 드러냈다. 세상에 없던 섬이 바다에서 떠오르는듯한 연출로 ‘새 땅’을 강조했다”며 “유럽에서도 공연하자는 제의가 온다. 어디에 내놔도 손색없는 작품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 새만금 신화와 고군산군도 ‘풍어제’ 등을 넣은 이번 ‘아리울 스토리’는 지역 대표 공연으로 내세우기에 손색 없는 퀼리티였다.

 

다만, 극 중 여성이 남성의 따귀를 때리는 장면이 4차례 정도 나와 보는 이에게 불편함을 줬다. ‘아리’와 ‘반고’ 간, 시종 남녀 간 치정 묘사에서 다소 격한 연출이라는 지적이며, 밀치는 듯한 표현으로 대체 가능한 장면이다.

 

‘아리울 스토리’는 오는 11월 8일까지 새만금 신시도 33센터 인근 새만금상설공연장 아리울 예술창고에서 계속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