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의 미래도 그렇지만, 지역의 미래는 청년에 달렸다. 자치단체에 따라 청년실업수당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청년 관련 정책을 펴는 것도 탄탄한 청년층 없이는 지역발전도 어렵다는 데 바탕을 두고 있다. 전북발연구원이 지난 5일 발표한 ‘전북지역 청년 종합실태조사’결과는 그런 점에서 전북의 미래를 걱정스럽게 한다. 지역을 등지려는 청년층이 줄을 서고, 이들을 붙잡을 수 있는 뾰족한 대책도 보이지 않으면서다.
도내 14개 시·군에 거주하는 20대와 30대 청년층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 집단면접을 벌인 이번 실태조사 결과 20대의 절반에 가까운 46.4%가 타지역으로 이주를 고려하고 있단다. 타지역 이주 고려 비율은 30대에서도 37.5%에 이른다. 취업과 고용문제를 주된 이유(48%)로 꼽았다. 2030세대들이 전반적으로 전북에서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거나 근로여건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사결과다.
청년들의 전북엑서더스는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발표한 ‘청년 인구의 지방 유출과 수도권 집중’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도 기준 전북의 청년인구 순유출은 전남에 이어 가장 많았다. 청년층의 지역 이탈이 가속화 되면서 65세 이상 고령층(18.3%)이 15~29세 청년층 인구(18.2%)를 넘어서는 상황에 이르렀다. 생산인구의 감소와 부양 부담의 증가로 지역의 활력이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된 셈이다.
전북의 청년들이 전북을 떠났거나 등지려는 원인이 좋은 일자리 때문임을 알면서도 이를 막지 못한 결과다. 자치단체들은 나름대로 청년취업과 창업장려 등의 여러 정책들을 발굴하고 지원해왔다. 그럼에도 성과가 신통치 않다. 지역의 여건과 외부 환경 탓으로 돌린다. 대기업 유치나 공기업의 지역 인재채용 할당제 도입을 위한 노력도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자치단체들이 전시성의 단순 실적 중심으로 청년취업대책을 진행한 것이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전북도가 전북연구원에 의뢰해 이번 조사를 벌인 것도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중장기(2017~21년)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번 기회에 청년문제가 일자리 창출만이 아닌, 교육과 문화·복지측면에서도 다각적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다. 지역 여건과 환경을 고려한 전북만의 특장을 살릴 수 있는 정책 발굴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청년들이 전북을 떠나지 않고, 전북으로 돌아오고 싶도록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