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4 04:43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전주
일반기사

[기대와 우려 속 도시가 변한다…전주 첫 마중길 ① 효과] 문화·예술거리로…전주 첫인상 확 바꿔

전주역~명주골사거리 구간 차도 줄이고 광장·쉼터 조성 / 프리마켓·버스킹 공연 등 / 동북부권 침체 벗어날 기회

전주를 찾는 관광객이 연간 1000만 명을 넘어섰다. 많은 관광객이 기차를 타고 전주를 찾고 있고, 전주시도 이에 착안해 전주역 앞 800여m 도로에 ‘첫마중길’을 조성 중이다. 그런데 기존 직선도로를 곡선도로로 만들고 제한속도도 낮추는 방식으로 진행된 이 사업은 시민들로 부터 기대와 우려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첫마중길은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보다 나은 첫인상을 심어주는 것은 물론, ‘자동차를 위한 도로’를 ‘사람을 위한 거리’로 바꿔 주변 상가를 활성화시키는 등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직선도로를 곡선도로로 바꾸면서 사고위험과 교통체증에 대한 운전자들의 불만도 크다.

 

전주역 앞 첫마중길의 효과와 문제점, 세계 사례 등을 2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첫마중길 조성사업에는 지난 2015년부터 올해 12월까지 3개년 동안 국비 34억원 등 총 60억원이 투입된다. 전주역에서 명주골사거리까지 백제대로 850m구간의 차선이 기존 8차선에서 6차선으로 줄고, 도로 중앙에는 폭 15~20m의 광장과 쉼터가 조성된다.

 

도로만 변하는게 아니다. 전주시는 첫마중길 주변 승강장 3곳을 지역예술가들이 참여하는 예술이 있는 승강장이자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바꿀 예정이다.

 

시민들이 헌수한 느티나무 230그루와 이팝나무 170여 그루가 심어지고, 마을 어귀에 서서 손님을 맞이하는 당산나무와 같은 팽나무 고목 2그루도 심어질 계획이다. 현재 90%이상 공정이 진행됐다.

 

첫마중길 조성을 위한 시민희망나무 헌수운동에는 지난해 5월 제1호 참여기업을 시작으로 기업과 단체, 일반 시민 등의 기부 참여가 이어지면서, 현재까지 100여건에 총 1억4000여 만원의 성금이 모금됐다. 첫마중길은 시민의 힘으로 생명의 숲으로 만들어졌다는 큰 의미를 담고 있다.

 

첫마중길 광장과 쉼터에는 시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프리마켓이 열리고, 앞으로 버스킹과 문화공연 등 다양한 길거리 예술 공연도 펼쳐진다.

 

첫마중길 조성사업은 전주역을 중심으로 한 전주 동북부권을 다시 살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주역세권은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지만, 다양하지 못한 환경과 노후 시설 등으로 인해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가 씽씽 달리는 도로를 사람들이 걷는 거리로 바꿈으로써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전주시는 첫마중길을 통해 현재 연 1000만명 수준의 관광객을 연 2000만명까지 늘린다는 꿈을 갖고 있다.

 

김승수 시장은 “첫마중길 조성은 전주의 삭막한 첫인상을 밝고 매력 있는 얼굴로 바꾸고, 도시의 패러다임을 바꾸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것은 자동차보다는 사람의 도시, 콘크리트보다는 녹색생태도시, 직선보다는 곡선의 도시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며 “첫마중길이 도시의 품격을 높이고 사람들을 머물게 해 경제도 살아나게 하는 열매를 가져다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백세종 bell103@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