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기관· 장애인 시설 등 도내 일부 사회복지시설 대표(이사장)의 ‘갑질’ 횡포에 대한 폭로가 잇따라 충격을 주고 있다. 최근 진안군과 김제시 복지관 대표의 갑질을 폭로한 투서에 이어 완주군 한 사회복지법인 노동조합과 근로자들도 대표이사의 갑질 행위를 고발하는 진정서를 도내 각 복지시설 등에 발송해 파문이 일고 있다.
공개된 투서나 진정서 내용에 의하면 대표나 관장들의 폭언과 폭행, 직장내 괴롭힘, 인권 탄압, 노동력 착취 등 우월적 위치에서 저지른 갑질의 전형적인 행태가 구체적으로 담겨있다. 심지어 시설 차량관리에 대한 관장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전 직원들에게 관용차량 8대를 5시간 동안 세차를 시키고, 흰 장갑과 면봉 등으로 세차 상태를 검사한 코미디 같은 일도 벌어졌다고 한다.
이밖에도 시설 이용자에 맞춰 진행되어야 하는 프로그램과 사업을 마음대로 중지나 변경시키기도 했으며, 시설에 결원이 생겨도 인력을 충원하지 않아 직원들 업무가 가중되었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공개된 자리에서 성추행도 버젓이 저지르고, 보조금 사업비로 식사비를 결제하는 등 공과 사를 구별하지 않는 비리도 빈번했다고 한다.
사회복지사 등 직원 들이 시설 대표의 이같은 갑질 횡포로 직무 스트레스나 심리 불안 등에 시달리면서 그 피해가 정작 돌봄이 필요한 대상인 노인이나 장애인 등에 까지 미치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직원들은 이같은 행태가 빚어지는데도 희생을 강요당하는 시설내 분위기 탓에 쉽게 문제 제기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복지시설의 비리나 대표의 갑질 논란이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닌데도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는 것은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 후에 지도 점검에 소홀한 탓이라는 지적이다. 대부분 시설이 가족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시설 운영을 사사로운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는 윤리의식 결여 탓도 크다.
도를 넘은 사회복지시설 갑질 논란을 이대로 둘 수 없다. 행정당국에서는 지금 같은 느슨한 지도 감독으로는 비리나 갑질 횡포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문제가 제기된 시설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함께 다른 복지시설의 갑질 예방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