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로컬푸드 직매장 77개소, 13년간 질적 성장은 속도 못 따라가
농산물 다양하지 않고, 안정성 관리 미흡 등 품질 관리 개선 도마
고령화 속 대농 중심의 판매 구조로 영세농 입지 축소, 수익 격차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 지원 범위 확대, 권역별 출하 체계 등 필요
전북지역 대표 농산물 유통혁신 모델로 주목받았던 로컬푸드가 영세 농가 소득 격차와 품질 관리 미흡 등 문제점이 드러나며 '로컬푸드 1번지'의 명성에 흠집이 생기고 있다.
23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전국 최초 2012년 4월 용진로컬푸드 직매장 개장을 시작으로 전북은 총 77개의 로컬푸드 직매장이 운영되고 있다. 이중 47개소는 전북자치도의 보조금 지원과 시군 협약 등을 통해 관리되고 있으며, 30개소는 민간 협동조합이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로컬푸드가 도입된 13년간 질적 성장이 양적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한국여성소비자연합전북지회가 도내 47개소 로컬푸드 직매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북 로컬푸드 모니터링 및 만족도 조사' 결과 공시유통기간 경과품목 수가 전년 대비 0.4%p 증가한 1.8%로 나타났다. 소비자 만족조 조사에서 응답자의 17.4%는 '농산물이 다양하지 않다'고 답했고, 14.9%는 '상품이 없는 경우가 있다'고 꼬집었다.
안정성 관리에도 미흡했다. 월별 잔류농약 검사 결과 266건 중 11건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농약이 검출됐다. 6월에는 41건 중 1건, 5월과 9월에도 각각 4건이 검출됐다.
모니터링 과정에서 타 지역 생산 상품의 부적절한 진열, 상품 내 이물질 검출, 출하자 정보 누락, 도정연월일과 원산지 표시 미비 등이 적발되기도 했다.
고령화 속 대규모 농가 중심의 판매 구조가 이같은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열악했던 소농들의 소득을 개선하려는 도입 취지와 달리, 대농의 참여가 증가해 영세농의 입지가 축소되고 있다. 고령농은 1~2개소 출하에 그치는 반면, 대농은 다수 매장에 동시 출하가 가능해 수익 격차는 확대되고 있다.
도의 순회수집 지원은 유류비에 한정돼 실효성 있는 도움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운송 수단과 인건비 등 지원 범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거점으로 시범 지원 사업을 실시한 뒤 14개 시군으로 넓히는 방안도 거론된다.
현재 민간 협동조합 중심의 운영으로 체계적인 농가 관리와 품목 조정도 어려운 실정이다. 먹거리는 공적인 영역이라는 점에서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자체 산하 재단법인 형태의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생산 체계 정비를 위한 기획생산 도입도 절실하다. 농가별 생산량을 조절하고 월별 부족 품목을 파악해 재배를 유도하면 재고 관리와 소득 안정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4~6월, 9~11월 등 제철 농산물이 풍부한 시기는 소농의 참여를 확대하고, 여름과 겨울에는 대농과의 협력으로 안정적 물량을 확보하는 유연한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