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론 전환대출 한도 3000만원으로 상향
최근 정부가 연 20% 이상의 고금리를 부담하는 채무를 10% 초반대의 저금리로 5년에 걸쳐 나눠 갚는 방식인 햇살론 전환대출 한도를 기존 1인당 2000만원에서 30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자 취급기관인 신용협동조합과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회사들이 리스크 관리에 우려감을 표명하고 있다.
상호금융회사들은 각 금고가 별도 법인체로 운영돼 자금 여력이 충분치 못한 상황에서 부실대출 적체가 심화되면 경영상 부담감이 가중되기 때문이다.
실제 햇살론은 이용 대상이 신용등급 6~10등급 또는 연소득 2600만원 이하의 저신용 및 저소득층으로 상환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무엇보다 현재 정부가 대출금의 85%까지만 보증하는 만큼 각 금고들은 나머지 15%를 손해볼 수도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연체율도 도입 초기에는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서 최근에는 초창기에 비해 연체율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상호금융회사들의 부담감이 더해지고 있다.
상호금융회사들은 정부의 이번 조치로 전환대출을 이용하려는 저신용자들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7월 첫선을 보인 햇살론은 1년만에(2011년 7월 20일 현재) 도내 새마을금고 67곳과 신협 75곳에서만 5241건(새마을금고 2417건·신협 2824건), 444억7300만원(새마을금고 202억6100만원·신협 242억1200만원원)의 대출이 성사되는 등 저소득층 및 저신용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었다.
이런 상황에서 전환대출 한도를 상향시 저소득·저신용자들의 대출 신청 증가는 불보듯 뻔한 것.
신협중앙회 전북지부 관계자는 "전환대출 한도를 상향 조정하면서 리스크가 커진 것은 사실이다"며 "지난해에는 광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햇살론 홍보를 했지만 이번 조치로 리스크 우려감이 커지면서 경영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 이전과 같은 적극적인 홍보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 전북지역본부 관계자도 "아직까지 연체율이 크게 우려할만한 상황은 아니지만 보다 철저한 심사를 통해 대출을 진행해 부실 우려를 최소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