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분기 가계와 중소기업의 은행대출 문턱이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14~23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 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해 5일 내놓은 '대출행태 서베이(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4분기 은행들의 종합 대출태도지수는 -1로 전분기보다 6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은행의 종합 대출태도지수는 2009년 4분기 -4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대출태도지수는 높을수록 은행들이 대출에 적극적이라는 뜻이다.
특히 가계에 대해서는 지난 6월29일 정부가 내놓은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시행의 영향으로 신중한 자세를 더욱 강화했다.
은행의 가계주택자금 대출태도지수는 -28로 2007년 1분기 -4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일반자금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도 2008년 4분기 -19 이후 가장 낮은 -16으로집계됐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19에서 13,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6에서 3으로 떨어졌다.
한은은 글로벌 재정위기 등에 따라 해외 위험요인이 상존하면서 은행이 리스크관리 강화에 나선 것으로 분석했다.
은행들이 돈을 빌려줬다가 떼일 수 있다는 우려를 보여주는 신용위험지수는 13으로 지난해 3분기 16 이후 1년여 만에 가장 높아졌다.
특히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는 전분기 9에서 19로 상승세가 대폭 확대됐다.
한은은 건설ㆍ부동산 등 취약부문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수부진, 경기 불확실성 등 경영애로가 커지면서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이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대기업은 신흥시장국에 대한 양호한 수출 흐름 등에 힘입어 견실한 재무구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신용위험지수 역시 -3을 유지했다.
가계부문은 가계부채 수준이 높고 대출구조도 취약해 여건 변화 시 한계 차주를 중심으로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될 우려가 커지면서 신용위험지수가 3에서 9로 확대됐다.
대출수요지수는 중소기업이 22에서 25로 높아졌고, 대기업은 6으로 전분기와 같았다.
가계주택자금 대출수요와 일반자금 대출수요는 전분기와 같은 각각 6과 13을기록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