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4 06:46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금융·증권
일반기사

'돈 잔치' 금융권 비리도 심각

작년 피해액 2736억원…4년만에 3배나 늘어

과도한 급여와 배당 등으로 '돈 잔치'를 해왔다는 비판을 받은 국내 금융권의 비리도 심각해 최근 4년간 피해액이 세 배 수준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횡령과 사기, 배임 등 범죄 혐의가 적발돼 면직처분을 받은 금융회사 임직원은 연평균 100명에 육박한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ㆍ증권ㆍ보험ㆍ비은행 등 금융회사에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금융사고 피해 규모가 갈수록 대형화하고 있다.

 

피해액은 2006년 874억원에서 2010년에는 2736억원으로 집계됐다. 4년 만에 무려 세 배를 넘는 수준으로 불어났다.

 

특히 투자자들의 돈 관리가 가장 안전하다는 은행권의 사고금액이 급격히 커졌다.

 

지난해 은행권의 비리 사고는 57건으로 전년 48건보다 19% 증가했지만, 피해금액은 391억원에서 1692억원으로 무려 333%나 늘어났다.

 

금융회사별 5년간 사고 금액도 은행권이 3579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비은행이 1920억원, 증권사 896억원, 보험사는 26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비리에 연루돼 면직당한 금융권 임직원은 469명이다. 연평균 94명이 금융권에서 퇴출당한 셈이다.

 

이는 금융회사 자체 징계와 금융당국에서 제재 권고를 받은 건수를 모두 합한 수치다. 면직은 횡령과 배임, 절도, 업무 관련 금품수수 등 사실상 범죄행위를 저질렀을 때 받는 최고 수준의 제재다.

 

5년간 금융기관별 징계현황을 보면 면직자는 카드사와 저축은행, 신협, 단위조합 등 비은행권이 249명(53.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은행 157명(33.5%), 보험 36명, 증권 27명 순이었다.

 

감봉 이상의 중징계를 받은 직원은 비은행 409명과 은행 310명이었고. 증권사와 보험사는 각각 58명과 49명이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각종 비위 행위로 면직 처분을 받은 금융회사 직원의 절대숫자가 많다. 하지만, 금융회사 3400개 중 비은행권이 2600개에 이른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