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4 08:12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금융·증권
일반기사

직불형카드 써야 연말정산 '미소'

소득·지출 같아도 공제혜택, 신용카드와 2배 차이

올해 연말정산부터는 소득과 지출이 같아도 카드사용으로 얻는 소득공제 혜택 격차가 최대 두배까지 벌어질 전망이다.

 

직불형카드(체크+직불) 활성화 정책과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압력으로 정치권에서 직불형카드와 신용카드의 소득공제 격차를 늘리는 방안이 힘을 받기 때문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직불형카드와 신용카드의 소득공제 한도액 조정이 현실화하면 같은 조건이라도 직불형카드 사용자가 돌려받는 세금이 신용카드 사용자의 두배까지 많아진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이 20%, 직불형카드 소득공제율이 30%로 공제율 격차가 10%포인트 벌어진 데 이어, 새누리당은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를 3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낮추고 직불형카드 공제 한도를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높일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1년에 6000만원을 벌어 3000만원을 쓴다고 가정할 때 이 금액을 신용카드로 긁은 A씨는 내년 초 카드 소득공제로 48만원을 돌려받는다.

 

급여의 25%(1500만원)를 넘는 사용분 1500만원에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20%를 곱하면 300만원이다. 신용카드 공제 한도(200만원)에 걸려 실제로 공제가 적용되는 금액은 200만원에 그친다. 여기에 소득구간별 세율(4600만~8800만원은 24%)을 적용하면 48만원을 손에 쥔다.

 

소득·지출 규모가 같으면서도 체크카드를 쓴 B씨는 A씨의 2배인 96만원을 받을수 있다.

 

B씨도 '공제문턱'은 A씨처럼 급여의 25%다. 문턱을 넘는 사용분 1500만원에 적용되는 공제율은 체크카드가 올해부터 30%로 높아져 450만원이 된다. 공제 한도가 지금처럼 신용카드와 같게 300만원이면 세율을 곱해 72만원을 받는다. 그러나 한도가 400만원으로 늘면 96만원을 받는다.

 

2000만원은 신용카드로, 1000만원은 체크카드로 쓴 '체리피커(혜택을 극대화하는 소비자)' C씨도 있다.

 

그는 문턱 1500만원을 신용카드로 채우고 각종 혜택도 누린다. 남은 신용카드사용분 500만원과 체크카드 사용분 1천만원에 각각의 공제율 20%와 30%를 곱하면 400만원이다. 한도를 아슬아슬하게 지켜 B씨처럼 96만원을 받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