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전북 지역 어린이들의 행복종합지수(행복지수)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5위라는 결과가 나온 것은 도교육청과 자치단체가 소외계층에 관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대로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전북도 학교운영위원장 협의회(회장 박희자)가 3일 전북도교육청 2층 대회의실에서 '방과후학교와 돌봄교실의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주제로 연 학부모 토론회에서 제기됐다.
김광혁 전주대 교수(사회복지학과)는 "지난해 6월 기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 비율(52%)이 높고, 소외계층 아동 비율이 전국 1위(전국 2.72%·전북 5.21%)"라며 "전북의 교육 여건이 열악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등이 '칸막이 행정'으로 초등돌봄교실, 지역아동센터, 방과후아카데미 등과 같이 성격이 비슷한 사업을 제각각 추진하고 있어 방과후 돌봄서비스의 통합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면서 '방과후 서비스 시군구 협의회'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 교수가 요구한 협의회는 교육지원청이 방과후 서비스 수요조사를 한 뒤 방과후서비스센터가 대상자를 파악·선정·배치하며 유관기관 등과 협조를 이뤄내는 방식. 방과후 돌봄교실 등을 운영하는 학교, 맞춤형 지원으로 전국 모범사례로 평가받은 지역아동센터, 저소득 청소년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을 해온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등이 삼각편대를 이루는 주요 꼭지점이다.
한편, 이날 토론자로 나선 민주당 김성주 국회의원은 "2006년 방과후학교 제도 도입 후 학생들의 특기 적성 개발이 이뤄지고 사교육비가 줄어드는 등의 효과는 있었으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면서 "교과 보충 수업이 아닌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부모·학생의 선택권을 존중하며 지역사회와 연계하되 전담 인력의 임금 현실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