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1 15:40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일반기사

여객선 침몰…비극의 수학여행

안산 단원고 등 462명 탑승…진도 해역 대참사 / 174명 구조 4명 사망 확인…284명은 생사불명

   
▲ 16일 전남 진도해역에서 침몰한 여객선 세월호에서 해양경찰이 헬기를 이용해 승객을 구조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학여행에 나선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 325명 등 총 462명이 탄 여객선이 16일 오전 전라남도 진도 해상에서 침몰됐다. 오후 9시 해경 발표에 따르면 이 사고로 174명이 구조됐으며, 4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고, 284명의 생사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어 자칫 대참사가 우려되고 있다.

 

이날 오전 8시58분께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청해진해운 소속 6825t급여객선 세월호가 침수됐다. 사고 당시 세월호는 “배 앞부분에서 ‘꽝’하는 충격음과 함께 기울고 있다”고 해양경찰청에 최초 신고했으며, 2시간20여분 만인 11시20분께 완전히 침몰됐다. 세월호는 전날인 15일 오후 9시께 인천을 출항해 제주도로 향하고 있었다.

 

여객선에는 3박4일 일정으로 수학여행길에 오른 안산 단원고 학생 325명과 교사 14명, 일반 승객 94명, 선원 29명 등 모두 462명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차량 150여대도 실려 있었다.

 

사고직후 해경과 해군은 함정 72척과 헬기 18대, 잠수요원 160여명 등을 투입, 대대적인 수색작업을 벌여 구명조끼 등을 입고 여객선 주변에 있던 탑승객 174명을 곧바로 구조했다. 이중 60여명은 침몰 당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어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그러나 탑승객중 안산 단원고 2학년 정차웅 학생과 여객선 직원 박지영(22·여)씨 등 4명의 시신은 확인됐다.

 

나머지 실종자 284명은 생사여부조차 불투명한 상태다.

 

특히 실종자 구조와 수색을 맡고 있는 해경과 해군은 사고 현장의 조류가 빠른데다 시계가 좋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종자 284명은 대부분 탈출하지 못하고 여객선 내부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고 당시 배가 갑자기 기울면서 선실 3층(식당, 매점, 오락실 등) 등 아랫 부분에 있던 승객 대부분이 넘어지는 등 혼란을 빚다가 빠져 나오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배가 침몰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객선측에서 선내 방송을 통해 “그 자리에 그대로 있으라”는 방송을 해 상당수 승객들이 선실에서 빠져 나오지 않았다는 생존자 증언들도 속속 나오고 있어 직원들의 초동대처 미흡으로 피해를 커졌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사고소식이 전해지자 단원고 학부모 300여명은 곧바로 학교로 와 함께 오전내내 시시각각 학생들의 구조소식에 촉각을 세웠다. 그러나 한때 ‘단원고 학생들이 모두 구조됐다’는 소식이 한 방송을 통해 나와 학부모들이 안도했다가 돌연 오보임이 밝혀지면서 학부모들을 더욱 안타깝게 했다. 이후 학생 상당수가 실종자로 분류되면서 학부모들은 버스에 나눠 타고 진도 사고현장으로 달려갔다.

 

사고직후 안전행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신속히 꾸려 가동했으나, 중대본은 시간대별 공식 브리핑을 하면서 매번 승선 인원과, 구조 인원, 실종자 수을 변경하는 등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도교육청은 이날 여객선 침몰 사고와 관련해 ‘안산 단원고 사고대책 종합상황본부’를 구성했고, 진도 사고현장 지원을 위해 교사와 상담 전문가 등을 급파했다. 특히 도교육청은 이날 이후 배를 이용한 수학여행을 전면 금지토록 각급 학교에 전달했다.

 

한신협 공동취재단 경인일보 김대현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