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등 선정한 민선7기 불량정치인 명단 중 예비후보 적격자 다수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공관위 활동 개시 도덕성과 의정활동 평가
도덕성 부문에서 혁신 없을 경우 도당과 심사위원에 화살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이 1차 예비후보 자격심사에 통과한 후보들을 2~3차 검증에서 대거 압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호남에선 고강도의 도덕성 검증이 전국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권에서 말하는 혁신 기준은 대부분 자신의 진영이 유리한 편에 서서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형판정을 받았거나 논란이 사실로 드러났던 인물들에 대한 판단은 정량화가 가능하다는 점도 도덕성 검증 강화의 명분이 되고 있다.
도당은 29일까지 순창군수 출마자인 최영일 전 도의원의 적격 판정(11차)등을 마지막으로 1차 검증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예비후보의 판정과 관련해선 시간을 오래 끌어온 만큼 그의 적격 판정 여부는 전북정치권 내 최대 관심사였다. 그는 지난 2017년 교통사고를 낸 뒤 운전자를 바꿔치기한 전력으로 심사과정에 일종의 바로미터로 작용했다.
이날 기준 전북도당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는 앞서 10차례에 걸쳐 389명의 기초단체장·광역 및 기초의원 예비후보 신청자를 대상으로 1차 검증을 실시 20명에게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 나머지 369명은 적격판정을 받았다. 컷오프 된 출마예정자는 전체의 5%수준이다.
하지만 적격 판정을 받은 예비후보라 할지라도 도덕성 논란이 불거진 후보자는 2차 검증 이후부터 더 험난한 길이 예고돼 있다.
부적격 판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던 인물 상당수가 적격 판정을 받아 민주당이 약속한 ‘개혁공천’ 취지가 실추됐다는 지적 때문이다.
실제 도내 민주당 예비후보 1차 적격자 중 단체장 후보는 물론 광역·기초의원에서 여러 스캔들에 휘말렸던 인물 다수가 심사를 통과했다.
이들 중에는 정치자금법과 배임수재 혐의로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이력이 있는 인물 등도 이번 검증에선 적격 판정을 받았다.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등 도내 NGO 등에서 선정한 민선7기 불량정치인 29명 중 민주당 예비후보 적격자도 있었다.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민주당 조직의 ‘이너서클 온정주의’가 도덕성 등 후보자의 적격 기준을 평가하는 데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부적격 판정을 예비후보 신청자들이 더 강하게 반발하는 배경도 바로 여기에 있다. 만약 전북도당의 공천심사와 관련 도덕성 논란이 지속될 경우 도당과 심사위원에 그 화살이 돌아갈 가능성도 높다.
다만 민주당 전북도당은 물론 공관위원회는 2차부터가 ‘본격적인 검증’의 시작이라며, 도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인사들에 대한 고강도 개혁을 자신했다.
도당 관계자들 역시 "출마예정자들이 정량에서 일정 기준만 맞으면 대부분 적합 판정을 받았다" 면서 "앞으로 이어지는 공천관리위원회 심사는 훨씬 엄격하고 혹독할 것“이라고 전했다.
민주당 중앙당 또한 이번 지선이 다음 총선은 물론 거대 야당으로서의 최대 승부처인 만큼 다음 달 초 세칙을 통해 도덕성 기준을 강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주 도당위원장은 “'어떻게 저런 사람이 민주당 후보일 수 있나’라는 말을 듣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쓰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윤준병 도당 공관위원장 또한 “민주당 후보로서 품격이 중요하다” 면서 “공천의 핵심은 공정성이기 때문에 공정하고 납득할 만한 결과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