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탈당 후 무소속 후보 복당 타진 암시에 전북도당 불가 방침
무소속 후보들, 지선 참패시 민주당 위기, 복당 가능성 높다 판단
경선과정 시비 있더라도 향후 몇 년 간 복당 불허 기조 이어질 듯
민주당 경선-탈당-제3당 가입-도로민주당 전북선 공식으로 굳어져
더불어민주당 경선 결과에 불복 후 탈당한 유력 무소속 후보들의 복당 전망을 놓고, 전북도당과 무소속 진영 간 공방이 벌어졌다.
양측은 서로의 입장을 ‘아전인수식’해석이라고 맞서고 있다. 다만 무소속 후보들은 당선 후 복당을 강력히 희망하는 만큼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민주당 전북도당이나 지역위원회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말을 아끼고 있다.
민주당 전북도당은 비교적 어렵지 않게 승리할 수 있었던 지역마저 무소속 후보의 출마로 격전지가 된 만큼 불쾌한 기색을 숨기지 않고 있다. 도당은 특히 “탈당한 무소속 후보들의 복당을 결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선거과정 중 그들이 이야기하는 ‘복당발언’은 당원모욕이자 도민기만이다”고 비난했다.
도당 선거대책위원회는 24일 이 같은 내용의 성명을 내고 “경선을 통과한 262명의 후보와 함께 하겠다”고 강조했다. 만약 유력 무소속 후보들이 승리하더라도 경선불복 출마라는 해당행위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당헌 (제2장 4조)을 통해서도 “공직선거 출마를 신청한 후보자가 당의 결정에 불복하고, 탈당해 출마한 사람에 대해 복당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번 지선에 앞서 탈당자들의 대규모 복당이 가능했던 것은 박빙의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대사면과 통합을 기치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반면 무소속 후보 진영과 지지자들은 “도당 공천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자신들의 복당 명분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일부 무소속 후보 캠프에선 “민주당이 유례없는 대위기를 맞았다”며 “지금은 복당불허를 천명하고 있지만, 이번 지선에서 대거 패배하고 총선이 다가오면 승리한 무소속 후보들의 복당이 타진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전북도당은 “무소속 후보들의 허언이 도를 넘어섰다”며 “‘당선 후 복당’은 본인들의 희망사항이 반영된 망상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공천파동 논란에 대해선 “민주당 전북도당은 6·1 지방선거를 준비하며 확고한 원칙을 갖고 과감한 혁신을 추진했다”며“기존보다 부적격 심사를 강화했으며 치열한 경쟁이 가능하도록 공정한 경선을 진행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지선 후보자들은 민주당이 숙의 끝에 만들어 정착시킨 ‘시스템 공천’의 결과”라고 자신했다.
민주당 중앙당 역시 당의 위기에 탈당한 인사들에 대해 무관용을 강조하고 있어, 도내 무소속 후보들에 대한 복당불허 기조는 상당기간 이어질 듯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입장에도 무소속 후보의 당선을 가정한 복당 가능성은 완전히 닫혀있지 않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과거 사례에 비춰 볼 때 ‘민주당 경선불복-탈당-호남을 기반으로 한 제3당 창당 및 입당-제3당 와해-민주당계 정당이나 인사대통합 바람-민주당 복당’이라는 프로세스가 전북정치판의 공식처럼 굳어져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