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학술대회·사적지정 연구용역·정밀발굴조사·교육자료 배포 등 다각적 노력
김관영 전북지사 “문화재청과 협력해 사적지 조성 등 적극 노력 다양한 사업 발굴”
“문화재청과 협력해서 사적지 조성에 적극 노력하고 관련 추가 사업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사업 시작 7년 여 만에 사실상의 임진왜란 첫 육상 승전지인 '웅치전적지'를 국사사적으로 승격시킨 뒤 나온 김관영 전북지사의 소회다.
지난 12일 문화재청은 문화재위원회를 열고 웅치전투 국가사적 지정 등에 대한 심의를 진행해 전북도의 웅치전적지 국가사적 지정 신청을 최종 ‘가결’했다.
웅치전적지 국가사적 지정 사업은 지난 2016년 전북도의회 제337회(10월 13일) 임시회에서 박재완 의원(완주2)의 도정질의로 논의가 시작됐다.
당시 박 의원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는 웅치전적지에 대한 문제를 질타했고 이후 웅치전적지에 대한 세미나 및 발굴사업 등이 진행됐다.
실제 전북도는 2017년 웅치이치전적지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웅치이치전적지 지표조사, 옛길 고증 및 편의시설 조성 등을 추진했다.
또한 2018년에는 1차 웅치전적지 정밀발굴조사 등을, 2019년에는 2차 웅치전적지 정밀발굴조사 등을 실시했다.
2020년에는 전북일보가 창간 70주년을 맞아 개최한 ‘웅치전적지 국가지정문화재 승격 위한 재조명 학술대회’와 더불어 웅치이치전적지 사적지정 연구용역이 추진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북도는 웅치전적지 문화재지정구역이 실제 전투지와 다르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기존 완주군 365만 609㎡에서 완주군 75만 8039㎡와 진안군 16만 2087㎡로 변경했다.
이후 올해 5월 전북도는 문화재청에 웅치전적지를 국가사적으로 승격 지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지난 7월 13일 개최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에서 위원회는 웅치전적지 국가사적 승격과 관련해 ‘보류’ 결정을 내렸다.
이유는 국가사적이 너무 넓은 범위로 지정될 경우 향후 토지 매입 등과 관련에 논란이 발생할 수 있고, 또 웅치전적지가 구체적으로 일어난 지역을 특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전북도는 포기하지 않고 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해 웅치전투 관련 문헌기록과 지명에 대한 구전 자료를 면밀히 검토해 실제 전투지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특정했다.
당초 신청면적 94만 8819㎡를 축소 변경해 최종 23만 1556㎡를 지정 추진했으며 그 결과 천신만고의 노력 끝에 최종 심의위에서 '가결'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번 문화재청의 가결에 따라 웅치전적지는 국가사적으로서 30일간의 지정 예고를 거치며 이의가 없으면 최종 국가사적으로 지정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