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새 19만3055명서 9460명 줄어…시 전체인구 중 28% 차지
소통 확대·생활 안정·일자리 지원 17개 사업 130억 여원 투입
전주시가 청년인구 감소세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 정주여건과 일자리 환경 개선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올해 청년 소통공간 운영에 내실을 다지고 생활안정 지원사업을 확충할 방침이다.
30일 시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상 시 청년인구는 지난 2020년 19만3055명에서 2021년 19만938명, 2022년 18만3595명으로 해마다 감소 곡선을 그리며 3년새 9460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인구는 지난해 12월 기준 시 전체인구의 28.1%를 차지하고 있다.
청년인구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시는 민선 8기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한 청년정책과를 중심으로 청년정책 분야별 맞춤 지원에 나서는 등 청년 인구 잡기에 나선다.
시는 올해 청년정책 관련 총 17개 사업에 130억 여원을 투입, 지역청년들의 소통 확대과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생활안정 지원 신규사업도 6개 발굴했다.
특히, 지난해 8월 문을 연 '청년이음전주(전주시 청년센터)'는 청년들의 소통 강화를 위한 보금자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역량 강화·취업상담 프로그램을 지속운영하고, 올해 신규사업으로 청년멘토 육성 및 네트워킹 사업을 추진한다.
청년 스스로 지원정책을 발굴하는 '전주시 청년희망단'도 지난달 제7기 구성을 마치고 활동에 나선다. 올해는 타지역 선진지 벤치마킹과 워크숍을 강화해 양질의 청년정책을 발굴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포부다.
생활안정 지원 신규사업으로는 △청년활력수당 △청년 함께 두배적금 △어학시험비 지원 △출향청년 채용 전주기업 지원 △전주기업반 신설 △군복무 청년 상해보험 가입 지원 등이 마련됐다.
또 일자리 지원을 위한 △청년 지역정착지원사업(전북형 청년수당) △무료 면접정장 대여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청년취업 2000 △전북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 매입임대주택 지원사업도 계속 운영한다.
시 관계자는 "경제활동 주체인 청년들이 취업난과 경제위기로 인해 고립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좋은 일자리를 계속 창출해 청년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