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10월 마지막 밤의 추억을 도립국악원 예술단이 선사한다. 금요국악예술무대 '우리음악, 우리춤'(31일 오후7시 소리전당 명인홀). 이번 주 예술무대는 창극단·관현악단·무용단이 함께 호흡을 맞춰 3개 예술단의 진미를 모두 차려냈다. 이번 무대에서 특히 기대되는 시간은 가을에 어울리는 대금 독주 '청성곡'. 창극단원들의 구성진 소리로 들려줄 민요 '풍년가'도 실내악 반주와 함께 어깨를 들썩일 수 있는 흥겨운 시간이다. 이어지는 '대풍류'는 관악기인 피리·대금·해금·아쟁·타악이 어우러진 음악이다. 피날레는 모두가 하나되는 '강강수월래'. 유쾌하게 물들 달 밝은 가을밤의 추억이 벌써부터 새롭다.
- 지역적 특성을 살려낸 소재, 음악·무용, 연출력 돋보여 - 예술혼 불태운 백제석공의 열정과 사랑 발아(發芽)하는 아름다움익산예술단이 2000 무대공연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뮤지컬 ‘승천’. 익산예술단이 창단기념 작품으로 올린 ‘서동요’에 이어 한해 숨을 고르며 무대에 올린 작품이다. 뮤지컬 ‘승천’은 인력과 재정적인 면에서 결코 넉넉치 않은 익산예술단이 싹을 틔워내려는 열정을 담아 제작한 작품이다.(20∼22일, 익산솜리예술회관) 황등과 함열 등 대규모 석재단지를 가지고 있는 익산의 지역적 특성을 염두해둔 작품 ‘승천’(연출 박병도)은 백제석공의 삶의 애환과 예술에 대한 끊이지않는 열정을 담아낸 작품. 통일신라시대를 배경으로 석가탑 제작을 위해 사랑하는 부인을 두고 불국사를 찾은 주인공 아사달(박성찬 扮), 우연한 기회에 그를 만나 혼자만의 사랑을 꿈꾸온 신라의 귀족 주만(윤정원 扮), 일편단심으로 아사달을 기다리는 아사녀(이일진 扮). 사랑하는 사람을 가슴에 품고 사는 세사람이 중심이된 뮤지컬 ‘승천’은 분명 ‘사랑’을 담아낸 작품. 하지만 사람에 대한 사랑과 예술혼을 불태운 백제석공 아사달의 열정은 작품 내내 공존한다. 완성돼 가는 탑을 다시 깨고, 심안(心眼)을 찾기 위해 자신의 눈을 해(害)하고 결국 불후의 명작을 남긴 아사달의 열정은 석재산업이 여전한 익산사람들의 자긍심으로 자연스레 옮겨간다. 시대적인 배경과 소재에도 불구하고 서구적인 음악형식(음악작곡 최종혁)을 시도한 점이나 작품의 클라이막스를 장식하는 무용단의 공연, 무대미술 등도 작품을 한층 돋보이게 했다. 연출을 맡은 박병도씨가 ‘발아하는 아름다움’이라는 말로 연출의 변을 대신한 것처럼, 예술혼을 불태운 아사달의 후예인 익산예술단이 열악한 환경에서 또하나의 무영탑을 세워냈다면 지나친 칭찬일까. 지역의 특성을 담아낸 창작품이라는 점에서도 무대공연지원사업의 취지를 모처럼 찾을 수 있는 작품이었다.
-6일 오후 7시 전북대 삼성문화회관국악, 시, 가요, 재즈의 저마다 모습을 한 목으로 풀어내는 소리꾼.하늘 끝까지 닿을 듯한 소리와 봄벌판 아지랑이 간지르는 소리 사이를 밀고 당기고 맺고 풀며 자유로이 넘나드는 소리꾼 장사익. 우리음악을 바탕에 두고 그 어떤 음악적 틀에도 얽매이지 않으며 살아온 그의 인생이 고스란히 묻어 나오는 소리판이 전주무대에서 펼쳐진다.전북일보사가 주최하는 장사익 소리판 공연이 오는 6일 오후 7시 전북대 삼성문화회관에서 열린다.진솔하면서도 가슴절절한 소리를 들려주는 소리꾼 장사익을 초청, 오랜 세월을 노래에 대한열정, 사랑, 그리고 노래와 같이 살아온 그의 인생을 들려주는 무대.듣는 이의 심금을 울리는 마력으로, 살아 숨쉬는 생동감으로 감동의 무대를 선사할 이번 공연은 ‘허허바다’ ‘국밥집에서’ ‘반달’ ‘찔레꽃’등 10여곡을 들려주게 된다.새천년 첫무대를 전주에서 갖는 그는 뽐내지 않고 은은하게 멀리까지 향기를 발하는 찔레꽃처럼 세상 한 켠에 물러앉아 소리없이 아픔을 삭이는 사람들의 마음을 노래로서 어루만진다.이번 공연에는 장사익과 함께 그룹 들국화에서 객원연주활동을 했던 기타리스트 김광석, 전북대 음악학과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김규형씨가 모듬북연주로 흥을 돋우고 이밖에도 김운태(소고춤), 노름마치(타악), 중앙 필코러스(코러스)등이 참여한다. 공연문의 250-5535∼6.
전주가 조선시대 최고의 출판문화도시였음을 확인시켜주는 특별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전북예술회관 전시실에 마련된 ‘완판본(전주에서 간행된) 한글고전소설과 고문헌전’. 전주종이문화축제가 특별기획 행사로 마련한 이 전시회는 조선시대 전주에서 간행된 고문헌들을 한자리에 모아놓았다. 전시장에는 ‘춘향전’ ‘심청전’‘홍길동전’ ‘유충렬전’ 등 1900년대 초 전주에서 간행된 한글고소설 10여권과 ‘구운몽’ ‘전등신화’ ‘초한전’ 등 완판본 한문소설 총 30여점이 선보인다. 이중 ‘심청가’와 ‘정수경전’은 이번 전시회에 처음 선보이는 책으로 당시 전주출판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자료다. 목판으로 찍어낸 완판본 고소설과 함께 필사본 10여점도 전시됐다.시간을 뛰어넘어 관람객을 맞는 책은 주로 1800년대 말에서 1900년대 초에 전주에서 간행된 완판본 방각본(판매용) 아동용 책과 생활백과 등이다. ‘동몽선습’ ‘명심보감’ ‘양동천자문’ 등 어린이용 학습서와 ‘논어’ ‘맹자’ ‘대학’등 사서삼경, ‘옥편’ ‘초간독’ ‘사례필례’ 등 각종 생활백과 책들이 나란히 놓였다. 전주보다 앞서 방각본(판매용)을 찍어냈던 태인본 방각본도 10여권과 전라감영에서 간행한 완영 목판본 ‘주자대전’ ‘경민편’등 18세기 책들도 준비됐다. 당시 서울에서 간행된 경판본을 완판본과 함께 전시해 전주지역의 것과 비교할 수 있게 했으며, 1900년대 초 한글편지와 수진본(필사절첩본) 전주이씨족보 등도 이채롭게 전시됐다. 1940년에서 1970년대까지 출판된 딱지본 고소설도 눈에 띈다. 전라감영본을 비롯한 20여점의 책판도 직접 볼 수 있다. 전북대 이태영교수(국문학과)는 “조선시대 판매용 책이 출판된 곳은 전주밖에 없을 정도로 전주지역은 인쇄출판문화가 발달한 곳이었다”며 “이번전시회를 마련한 것도 화려했던 전주지역의 출판문화를 널리 알리고 이를 통해 문화사적 위상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 전시회는 5일까지 전북예술회관 전시실에서 계속된다.
사진으로 만나는 전주의 문화유산.전주의 문화유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진전 ‘사진으로 보는 전주 문화유산’전이 다음달 24일까지 한달여동안 경기전에서 전시된다.전주문화원이 풍남제와 전주국제영화제 동안 전주를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기획한 이번 전시는 전주의 유서깊은 문화전통을 알리는 자리. 국보 1백23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내 발견유물’을 포함해 국보 2점, 보물 11점, 중요민속자료 1점, 지방기념물 8점 등 모두 35점의 사진이 전시되는 이번 전시회에는 관광객 뿐아니라 지역의 문화유산을 한자리에 만날 수 있는 흔치않은 기회이기도 하다. 특히 이번 전시작품이 수록된 도록을 무료로 배표할 예정이다.전주문화원은 “전주의 문화유산을 통해 전주를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풍남제, 종이축제, 영화제 등을 찾은 관광객들이 전주를 다시 찾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전주의 재발견’기획을 마련해오고 있는 전주문화원은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오는 7월에는 1백여년전의 전주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모아 ‘100년전 전주의 모습’을 주제로 사진전을 기획하고 있다.
여성계 '젠더축제'로 하나 된다
전발연 여성정책연 '전북여성 100년사' 발간 북 콘서트
제3회 전북특별자치도 예술·관광상 공모
140년 만에 되살아난 ‘전라감영 접빈례’, 옛 외교의 품격을 잇다
[한자교실] 허심탄회(虛心坦懷)
예원대 국내 최초 코미디연기학과, 18일 첫 학위수여식
조승우-강혜정, 열애설뒤 공식석상 첫만남
[템포] 탈취 가전 전성시대
보고, 느끼고, 그리는 이재원 작가의 세 번째 개인전
[생활영어] I have butterflies in my stom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