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11 03:0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전체기사

완주군의회·주민들 "완주·전주 통합 중단해야"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과 군의원들, 통합반대대책위원회 주민들은 3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관영 도지사는 완주군민의 요구로 통합 논의가 시작됐다고 말하지만, 이는 도지사와 우범기 전주시장이 제시한 정치 공약으로 촉발된 것이지 완주군민은 동의한 적도, 논의한 적도 없다"며 완주·전주 통합 추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유 의장은 "도지사는 행정 통합만이 마치 전북의 미래를 담보하는 유일한 대안인 것처럼 주장한다"며 "그러나 전북의 발전은 행정통합이 아니라 균형발전과 상생, 협력체계의 강화로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완주와 전주가 통합하면 특례시라는 명분 아래 전북 행정의 중심은 전주시가 될 것이고 이는 완주, 진안, 무주, 장수 등 인구가 적은 지역과 낙후한 지역의 소멸을 가속할 것"이라며 "우리 군의회는 장기적으로 (통합을) 전북 소멸로 몰고 갈 수 있는 사안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행정통합은 일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안도, 선거 공약만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안도, 도지사 한 사람이 밀어붙일 수 있는 사안도 아니다"라며 "도지사는 전북 전체를 끌어내리는 행위를 즉각 멈추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 의장은 "전주시장과 전주시의회 의장에게 TV 토론에 임할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며 "통합이 되지 않을 시 도지사와 전주시장은 반드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합에 찬성하는 전주시민협의위원회, 완주군민협의회가 확정한 105개 상생 발전 방안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단체가 확정한 게 아니기 때문에 인정하지 못한다"며 "재원 조달 방안도 없어 헛공약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 정치일반
  • 백세종
  • 2025.07.03 14:51

뉴욕 사로잡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K-FOOD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사장 김덕호)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북미 최대 규모의 식품 박람회 ‘2025 뉴욕 팬시푸드쇼(The Summer Fancy Food Show in NYC)’에 참가해 총 195건의 수출 상담(605만 달러 규모)과 25만 달러 상당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진행된 이번 박람회에서는 전 세계 100여 개국의 식품기업과 바이어,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최신 식품 트렌드가 공유되고 혁신 제품들이 선을 보였다. 식품진흥원은 국가식품클러스터 공동관을 운영해 글로벌 유망 식품기업 6개사(고려자연푸드, ㈜선해수산, 나리찬주식회사, 배드캐럿, ㈜담꽃, 송시마을㈜)와 함께 유자차, 생강차, 황태 스낵, 김치미, 콤부차, 구움찰떡, 고사리 오일파스타 소스, 오란다 등 총 20여 종의 프리미엄 K-FOOD를 선보였다. 특히 현지 바이어(15개사) 초청 현장 상담회를 통해 미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식품기업과 해외 바이어 간 1대1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했으며, 제품 시식 및 이벤트를 통해 전시회장을 찾은 현지 바이어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김덕호 이사장은 “이번 뉴욕 팬시푸드쇼 참가를 통해 대한민국 식품산업의 미래상을 제시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해외 박람회 참가와 현지 마케팅을 통해 K-FOOD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국가식품클러스터 우수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실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 익산
  • 송승욱
  • 2025.07.03 14:45

이번 주말엔 익산 왕궁보석테마관광지 가볼까

익산시가 짜릿한 롤글라이더와 체험이 어우러진 특별한 주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일 시에 따르면, 오는 5일과 6일 오후 3시부터 익산 왕궁보석테마관광지에서 ‘보석처럼 빛나는 롤글라이더’ 이벤트가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올해 새롭게 개장한 롤글라이더를 알리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왕궁보석테마관광지 내 가족공원에서 롤글라이더와 연계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롤글라이더는 레일을 따라 최대 시속 25~30㎞로 하늘을 가르며 숲과 저수지 주변의 경치까지 경험할 수 있는 이색 체험 놀이기구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되며, 성인과 청소년은 8000원, 어린이는 4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벤트 기간 체험 프로그램은 마룡 투명부채 만들기, 천연 모기퇴치제 만들기, 샌드아트 마룡이 그리기, 공기돌 꾸미기 등이며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현장에서는 체험뿐만 아니라 가족 줄넘기 대회 등 부대 행사도 진행돼 방문객들의 흥미를 더할 예정이다. 체험 참여 방법은 두 가지로, 롤글라이더 탑승권을 제시하면 2명이 참여할 수 있다. 또 마룡 사진 촬영 장소에서 찍은 인증 사진을 필수 해시태그와 함께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면 1명이 체험에 참여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왕궁보석테마관광지에는 보석박물관과 다이노키즈월드 등 실내·외 놀이시설도 있어 가족 단위 나들이객에게 최적의 장소”라며 “새로운 놀이기구 롤글라이더와 만들기 체험이 어우러진 이번 주말 행사에서 신나는 추억을 남기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 익산
  • 송승욱
  • 2025.07.03 14:42

세계 검도인 한자리에…2025 남원오픈검도대회 성료

‘2025 남원오픈검도대회 및 제33회 조병용선생추모검도대회’가 지난달 27일부터 사흘간 남원종합스포츠타운 실내체육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남원 출신으로 한국 검도계의 거목으로 추앙받는 고(故) 조병용 선생을 기리는 이번 대회는 2015년부터 국제대회로 승격된 이후,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검도대회로 자리 잡았다. 올해 대회에는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등에서 100여 명의 해외 선수단이 참가했으며, 전국 17개 시·도에서 2500여 명의 선수들이 대거 출전해 열띤 승부를 펼쳤다. 대회는 유치부부터 일반부까지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검도의 기예와 정신, 품격이 어우러진 수준 높은 경기가 이어졌다. 참가 선수들은 갈고닦은 기량을 마음껏 펼치며 남다른 열기를 자아냈다. 해외 선수들도 눈에 띄는 활약을 펼쳤다. 일본 히오키시 선수단은 조병용 선생과의 인연을 기리며 헌화식에 참여했고, 초등부 Kato Mina, 중등부 Kawauchi Mao 선수가 각각 개인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단체전 ‘흥부부’에서는 준우승을 거두는 성과를 올렸다. 히오키시 선수단 측은 “남원에서의 경험은 단순한 대회 참가를 넘어, 검도의 본질을 다시금 되새기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대회는 단순한 스포츠 행사를 넘어 문화적 교류와 우정의 장으로 기능했으며, 세계 검도인들의 교차점이자 남원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경식 남원시장은 “이번 국제대회를 통해 남원이 한국 검도의 중심 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는 한편, 생활체육과 국제 문화교류를 함께 활성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참가자들이 남원에서 체육뿐 아니라 우리 전통과 문화유산을 함께 체험하셨길 바란다”고 전했다.

  • 남원
  • 최동재
  • 2025.07.03 14:41

문해력 쑥쑥 도서관 가볼까?…장수도서관, 여름 독서교실 운영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장수도서관(관장 김정희)이 여름방학을 맞아 이달 29일부터 8월 1일까지 나흘간 관내 초등학교 1~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5년 여름 독서교실을 운영한다. 올해 프로그램은 ‘그림책 속 문해력이 피었습니다!’를 주제로 일방적인 책 읽기를 넘어 독서 후 활동을 통해 어휘력과 이해력, 표현력, 사고력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감정 어휘 사탕 만들기 △등장인물 마음 지도 만들기 △말풍선 그림책 제작 △작가 낭독 체험 △여름 주스 만들기 등이 있으며 아이들이 직접 보고 듣고 만드는 과정을 통해 책과 친해지는 계기를 제공한다. 장수도서관은 매년 방학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아동의 독서 흥미를 높이고 있다. 특히 여름 독서교실은 학부모 만족도가 높은 프로그램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참여 학생 중 우수한 성과를 보인 4명에게는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상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장상 △장수교육지원청교육장상 △장수도서관장상이 수여될 예정이다. 김정희 관장은 “그림책은 아이들의 상상력과 표현력을 키우는 훌륭한 도구이다”며 “이번 독서교실을 통해 아이들이 책과 친구가 되고 즐겁게 배우며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기를 바랍니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장수도서관 누리집(https://lib.jbe.go.kr/jpl/index.do) 또는 전화(063-351-5488)로 확인할 수 있다.

  • 장수
  • 이재진
  • 2025.07.03 14:41

완주 삼례에서 근대문화 다시 꽃 피우다

완주 삼례에서 근대문화가 다시 꽃을 피웠다. 완주군은 지난달 28일 이틀간 삼례문화예술촌 일원에서 개최된 ‘2025년 근대역사 문화여행–근대어때, 추억을 완주하다’ 축제에 3,700명의 방문객을 기록하며 열띤 호응 속에 성황리에 열렸다고 밝혔다. 올해 행사는 공연과 체험이 결합된 관객 몰입형 콘텐츠 중심으로 기획돼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관광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행사장 주무대에 선부인 완주군에 거주하는 시니어 모델과 함께 근대 혼례복·교복·정장 등 다양한 복식과, 뮤지컬 <영웅> 갈라쑈, 만요 공연, 유랑극단 서커스 등 근대문화를 재해석한 공연들에 참석자들이 뜨겁게 호응했다. 또 삼례백년영사관에서는 상영한 개화기 무성영화와 완주 삼례의 근대문화유산 아카이빙 영상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연 공간으로 인기를 모았다. 올 새롭게 도입한 삼례문화예술촌-삼례성당-삼례책박물관 등 인근 문화자원을 직접 걷고 둘러보며 도장을 찍는 방식으로 진행한 ‘완주 근대문화 스탬프 투어’ 프로그램에도 600명이 참여하며 조기 마감될 정도로 호응을 얻었다. 금와습지에서 대간수로까지 이어지는 구간을 미니버스를 타고 이동하며, 전문 해설사의 설명을 통해 삼례의 숨겨진 근대문화 자원을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근대유산 해설버스’ 프로그램도 관람객들에게 완주 문화유산을 접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였다. 군은 이번 행사와 병행해 코레일 전북본부의 협조를 얻어 수도권 대상 1박2일 연계 관광열차 상품을 통해 150명의 관광객을 유치, 경천애인마을 매실청 담그기 체험, 대한민국술테마박물관, 전북도립미술관에서 완주의 문화를 경험하도록 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근대문화유산을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며 오감을 만족할 수 있도록 기획한 이번 프로그램과 같이 완주만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체류형 관광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완주
  • 김원용
  • 2025.07.03 14:40

[세계기록유산이 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51) 죄인군물성책과 물금첩기

△죄인군물성책(罪人軍物成冊) 「죄인군물성책(罪人軍物成冊)」은 1894년 11월 동학농민군 토벌 과정에서 확인한 동학농민군 명단과 물자를 기록한 자료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크기는 25×27cm이다. 이 자료는 「친군경리청장졸성책(親軍經理廳將卒成冊)」, 「선봉대장진배행장관좌목(先鋒大將陣陪行將官座目)」, 「친군장위영장졸실수성책(親軍壯衛營將卒實數成冊)」, 「교도소출주장병성책(敎導所出駐將兵成冊)」, 「본진별군관차출기(本陣別軍官差出記)」, 「창의인명록(倡義人名錄)」, 「죄인록(罪人錄)」 등과 함께 『각진장졸성책(各陣將卒成冊)』으로 합본되어 1996년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에 실렸다. 이 자료에는 1894년 11월 16부터 11월 26일 사이에 물리친 동학농민군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백정복(白正福), 고영만(高永萬), 이복만(李福萬), 최도수(崔道水), 김자근봉(金者斤奉), 김순천(金順川), 이정천(李正川), 민성심(閔成心), 호한성(扈漢成) 총 9명이다. 이들은 모두 2004~2009년 사이에 활동한 국무총리소속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되었다. 다음으로 관군이 이들을 격파한 후에 획득한 군물(軍物)이 기록되어 있다. 총 35자루, 창 80자루, 철환(鐵丸) 3두(斗), 화약 100근, "대선생신원기(大先生伸冤旗)"라고 적혀 있는 거소위대장기(渠所謂大將旗) 2기(旗), 영기(令旗) 1쌍, 반낭(飯囊) 18건, 대장석(大將席) 1건, 환도 5자루, 동학농민군 지도자가 탔던 백마 1필, 소 1쌍, 장이(長耳) 1필, 엽전 100냥, 홍의장삼(紅衣長衫) 1건, 뇌장(雷杖) 하나 등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이들은 적어도 100여 명 이상의 동학농민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적지 않은 무장을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선생신원기(大先生伸冤旗)라고 적혀 있는 대장기를 지닌 것으로 보아 동학교단의 교조신원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활동을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동학농민군 개별 부대의 무장 상태 및 지향을 엿볼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물금첩기(勿禁帖記) 「물금첩기」는 1894년 관군 측이 동학농민군 진압 과정에서 체포하거나 침탈하지 않아야 할 사람들을 정리해 놓은 명단이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크기는 25×28cm이다. 이 자료는 「친군경리청장졸성책(親軍經理廳將卒成冊)」, 「선봉대장진배행장관좌목(先鋒大將陣陪行將官座目)」, 「친군장위영장졸실수성책(親軍壯衛營將卒實數成冊)」, 「교도소출주장병성책(敎導所出駐將兵成冊)」, 「본진별군관차출기(本陣別軍官差出記)」, 「창의인명록(倡義人名錄)」, 「죄인록(罪人錄)」 등과 함께 『각진장졸성책(各陣將卒成冊)』으로 합본되어 1996년『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에 실렸다. 물금첩기(勿禁帖記)는 다른 관사 혹은 외부로부터의 침탈을 방지하기 위해 발급해 주는 이른바 “물금첩(勿禁帖)”의 발급 내역을 기록해 놓은 문서인데 “물금첩(勿禁帖)”은 동학농민군과 관군 양쪽에서 모두 발행하였다고 한다. 일명 “물침표(勿侵標)”라고도 한다. 여기에서의 「물금첩기(勿禁帖記)」에는 관군에서 발급한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종이에 고을의 이름, 면(面)의 이름, 동(洞)의 이름, 마을의 이름, 해당자의 이름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를테면 “무안(務安) 일로면(一老面) 인의산(仁義山) 이치옥(李致玉) 이치순(李致純) 수성장(守城將) 정규섭(丁圭燮)”, “공주(公州) 노성소삼면(魯城少三面) 가절리(佳節里) 윤참봉(尹參奉) 형제(兄弟)” 등으로 기록되어 있어 각 고을별, 면별, 마을별 침탈되어서는 안될 사람들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관군에 의하여 동학농민군으로 지목되지 않고 보호를 받아야 할 인물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공주(公州) 요당면(要堂面) 신성리(新城里)”라고 기재된 경우 경우는 마을 전체가 침탈 대상에서 제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자료에는 충청도 공주, 노성, 임천, 유성, 온양, 아산, 진천, 청안, 부여, 진잠, 천안, 연기, 문의, 면천, 보령, 전의, 정산, 청주, 서천, 한산, 충주, 전라도 익산, 여산, 무안, 해남, 진도, 영암 등에 발급한 물금첩의 내역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해당 지역에서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하여 남하한 관군이 끼친 영향력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동학농민군과 구별되거나 동학농민군에 대척점에 서 있었던 인물 내지 마을들의 내역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성장(守城將)의 직책을 가지고 있던 인물들이 동학농민군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중에는 이 「물금첩기(勿禁帖記)」 말고도 1894년 11월 나주목에서 발급한 「홍우전물침접(洪祐銓勿侵帖)」, 1894년 12월 무안군에서 발급한 「물침첩(勿侵帖)」, 남평현감이 발급한 「이정돈물침첩(李廷燉勿侵帖)」 등도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물침첩(勿侵帖)” 및 「물침첩기(勿禁帖記)」는 동학농민군 활동에 가담하지 않았던 인물 및 마을들을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 당시 향촌 사회의 동향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유바다 고려대 교수 유바다 고려대학교 교수

  • 기획
  • 기고
  • 2025.07.03 14:29

유희태 군수 "완주·전주 상생방안 검토할 가치 없어"

유희태 완주군수는 3일 완주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완주-전주 찬성단체가 최근 발표한 `전주‧완주 상생발전 105개 방안`에 대해 "검토할 가치가 없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유 군수는 “완주군은 일관되게 일방적인 통합 추진을 반대해 왔고, 이번 상생발전 방안 역시 통합을 전제로 한 일방적 계획에 불과하다”며, “군민이 배제된 통합 논의는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유 군수는 "상생방안은 행정 통합을 전제로 한 만큼 일방적 통합에 반대해 온 완주군 입장에서는 검토 자체가 무의미하며, 상생방안 역시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가는 사업들이 많음에도 재원 마련 대책도 없어 실현가능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많다"고 비판했다. 또 완주군민들의 의견수렴 없이 특정단체가 일방적으로 결정한 방안이며, 제시된 사업들도 결국 통합 후 통합시의 부채로 전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 군수는 “완주군은 행정안전부에 주민투표가 아닌,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식의 여론조사 실시를 공식 요청한 상태”라며, “과반수가 반대하는 결과가 나온다면 통합 논의는 즉시 중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함께 "여론조사를 요구한 만큼 완주군민들도 주민투표를 막기 위해 모든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전주시와 통합 관련 협의를 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유 군수는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통합 관련 협의 요청이 없었다"며, "통합과 상관 없이 전주시와는 상생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 완주
  • 김원용
  • 2025.07.03 14:08

군산, 역전의 명수 도시 맞나⋯야구 인프라 낙제점

군산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중 하나가 바로 ‘역전의 명수’이다. 1972년 제26회 황금사자기 고교야구대회 결승전에서 신생팀 군산상고가 강호 부산고를 만나 9회말 대역전극을 펼치면서 ‘역전의 명수’의 탄생을 알렸다. 그리고 이 승리의 기쁨은 야구 변방이었던 군산에 엄청난 활기를 불기 시작했다. 군산이 지금까지도 야구 명문도시로서 위상을 이어가고 있지만 인프라는 오히려 낙후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군산시 등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 야구장은 월명야구장을 비롯해 금강체육공원 1‧2구장 등 3개가 있다. 이마저도 정규 규격을 갖춘 야구장은 지난 1989년에 조성된 월명야구장 1곳에 불과하다. 특히 제 2구장 부재로 굵직한 전국대회 유치 등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내흥동에 위치한 리틀야구장의 경우 해양수산부 갯벌연구센터가 들어서면서 철거됐고, 이로인해 지역 야구발전에도 찬물을 끼얹고 있다. 이는 해당 부지가 국유지이기 때문인데, 더 큰 문제는 나머지 금강체육공원 내 야구장 역시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수부 소유로서 언제든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인근 익산시의 경우, 정규 규격의 1‧2 야구장과 용안 야구장, 실내 야구연습장 및 리틀야구장까지 갖추고 있어 군산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해 익산시는 퓨처스리그 등 여러 대회를 유치하는 등 야구 불모지에서 군산의 아성을 뛰어넘을 기세다 현재 군산에는 38개 야구동호회에서 1000여 명의 사회 및 공무원 야구인이 주말 리그 등을 통해 활발하게 야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다만 일부에선 경기장을 확보하지 못해 군산상일고와 군산중학교 야구장을 빌려 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야구도시 수준에 맞는 야구장 확충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동호인은 "군산이 프로야구까지 열린 야구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시설이나 인프라면에서 후한 점수를 줄 수 없다"면서 "이제라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군산시의회 우종삼은 의원은 “명실상부한 야구 명문도시라는 자부심을 되찾기 위해 월명종합경기장 제2야구장 건설, 금강야구장 보전, 리틀야구장 재조성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군산에 정규 야구장은 오래된 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 하나뿐”이라며 “향후 전국체전이나 올림픽 같은 국가적 스포츠 이벤트를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지금이 바로 야구 인프라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 군산
  • 이환규
  • 2025.07.03 13:54

'셔틀콕 여제' 안세영 익산에 온다

전국 최정상 배드민턴 선수들이 익산에서 치열한 승부를 펼친다. 3일 익산시에 따르면, 이달 4일부터 13일까지 열흘간 익산시실내체육관에서 ‘2025 대통령기 전국종별배드민턴선수권대회’가 진행된다. 이 대회는 대한배드민턴협회가 주최하고 전북특별자치도배드민턴협회가 주관하는 전국 규모의 권위 있는 대회로, 전국에서 700여 명의 대학부 및 일반부 선수들이 참가한다. 특히 2024 파리올림픽 여자 단식 금메달리스트이자 세계랭킹 1위 안세영 선수와 2025 인도네시아 오픈 남자복식 우승을 기록한 세계랭킹 6위 서승재 선수가 출전해 배드민턴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참가 선수들은 남녀단식·복식, 혼합복식 등 전 종목에서 승부를 겨루며, 대회 성적은 부문별 우수 선수 발굴 및 국가대표 선발에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전망이다. 시는 이번 대회가 지역 체육산업 활성화뿐만 아니라 선수단 및 가족 방문에 따른 숙박·외식 등 지역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전국 규모의 대회를 통해 익산이 스포츠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안전하고 성공적인 대회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익산
  • 송승욱
  • 2025.07.03 13:54

제주·남부지방 장마 종료…중부지방은 비 올 수 있어

북태평양 고기압이 정체전선을 북서쪽으로 밀어내면서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장마가 종료됐다고 기상청이 3일 밝혔다. 기상청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제주도는 지난달 26일, 남부지방은 이달 1일 정체전선의 영향에서 벗어남에 따라 장마가 종료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래 가장 빠르게 장마가 종료됐다. 이전 기록은 1994년 7월 1일이다. 남부지방의 경우 역대 가장 이른 장마 종료일은 1973년 6월 30일이며 이번이 두번째로 이른 종료일로 기록됐다. 기상청은 "앞으로 정체전선이 남쪽으로 이동한다 해도 제주도나 남부 지방에는 영향을 주기 어려울 것으로 보기 때문에 장마에서 벗어난 것으로 분석했다"며 "다만 추후 재분석을 통해 더 상세한 기후적 자료가 나오고 여름이 지난 후 전체 자료를 토대로 정량적으로 장마 기간을 재산정하게 되면 미세하게 날짜가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부지방의 경우 북한을 지나는 정체전선의 일시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장마가 종료됐다고 보기에는 아직 불확실성이 있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기상청은 "북쪽 찬 공기가 일시적으로 남하하면서 정체전선이 중부지방에 영향을 미쳐 4일과 6일 밤부터 7일까지 중부지방에는 비가 올 수 있다"며 "북태평양 고기압권 내의 약한 정체전선의 영향이라 강수량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분리된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완전히 덮고 있는 데 더해 고온다습한 남서류가 유입하면서 폭염과 열대야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기상청은 "이번주는 폭염이 지속되고, 다음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이 폭염 특보권에 들 것으로 보이나 변동성은 크다"고 설명했다. 다만 같은 지역별로는 폭염이라 하더라도 특성이 달라 일찍 북태평양 고기압이 든 내륙(남쪽지방)은 강한 일사와 남서풍 등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체감온도보다 더 높겠다고 밝혔다. 중부지방 등 서해안 지역은 남서풍이 고온다습한 수증기와 만나고 일사가 내리쬐면서 체감온도가 기온보다 높을 전망이다. 동해안은 푄현상(산을 넘는 바람이 고온 건조해지는 현상) 및 남서풍, 일사의 영향으로 야간에도 기온이 높겠다. 또 열대요란 지역의 태풍 발생 가능성에 따라 기압계의 변동성이 매우 크며 소나기·태풍 등 집중 호우의 가능성과 폭염 강화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기상청은 "당분간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체감온도 33도 내외(일부 지역 35도 이상)의 폭염이 예상되고, 계속된 폭염으로 열이 축적돼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온열질환 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날씨
  • 연합
  • 2025.07.03 13:48

李대통령 "대출규제는 '맛보기'에 불과…부동산 정책 엄청 많아"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최근 정부가 내놓은 집값 안정을 위한 대출규제와 관련해 "이번 대출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의 기자회견에서 "부동산과 관련된 정책은 많다. 공급 확대책, 수요 억제책이 아직도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공급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얼마든지 (실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선 "기존에 계획된 신도시가 많이 남아 있다. 상당한 규모인데 (아직은) 공급이 실제로 안 되고 있다"며 "기존에 계획돼 있는 것을 그대로 하되, 대신 속도를 빨리할 생각"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꼭 신도시에 신규 택지만이 아닌 기존 택지를 재활용하는 방법 등이 얼마든지 있다"며 "공급이 충분히 속도를 내면 걱정할 상황은 전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더 근본적 수요억제책도 지금 이것(대출 규제) 말고도 많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대한민국의 미래가 부동산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다"며 "안 그래도 좁은 국토에 수도권 집중이 심화하는 상황이다. 투기적 수요가 사실 부동산 시장을 매우 교란하고 있어 전체 흐름을 바꿀까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 마음대로 되지는 않겠지만, 이제 부동산보다는 (투자를) 금융시장으로 옮기는 게 훨씬 낫다고 생각한다. 또 그렇게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시간이 걸리겠지만 지방균형발전 정책을 확고하게 추진해 지방 인구소멸, 또는 수도권의 과도한 인구 밀집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체적 방향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 정치일반
  • 연합
  • 2025.07.03 13:45

‘누적 8만 명 육박’ 하림 HCR 투어, ‘오감만족 미식 여행’ 자리매김

종합식품기업 ㈜하림(대표이사 정호석)의 식품 철학과 스토리를 직접 보고 맛보며 즐기는 오감만족 미식 여행 HCR(Harim Chicken Road) 투어가 6월 셋째 주 기준 누적 견학객 7만 7777명을 돌파했다. 2019년 말 최첨단 스마트팩토리 완성과 함께 시작된 HCR 투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운영이 잠시 중단됐다가 2022년 엔데믹 전환 이후 본격적으로 가동을 재개했다. 이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생산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산업관광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본격 가동이 시작된 2022년 8062명을 시작으로 2023년 1만 8203명, 2024년 3만 366명, 올해에는 6월 30일 기준 2만 1557명이 방문했다. 6월 30일 기준 총 누적 방문객은 7만 8188명에 달하며, 이런 추세라면 올해 연간 방문객 유치 목표 4만 명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문객들은 학교, 일반인, 기관 등 계층이 다양하며 서울, 경기, 충청 등 전국 각지는 물론 해외에서도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HCR 투어 참여를 위해 전국에서 익산에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방문객 유치를 위한 다각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다. 하림은 운영 인력들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도슨트 인력을 4명에서 7명으로 증원해 운영하고 있고, 평일은 물론 토요일과 공휴일을 포함해 1일 투어 운영 횟수를 4회에서 6회로 확대했다. 또 연령대별 맞춤 영상과 MZ 세대를 겨냥한 홍보 영상, 어린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 영상까지 제작해 운영하고 있고, 투어 라인 내 포토존과 이벤트 공간을 새롭게 마련하고 휠체어, 유모차 등 편의시설도 완비했다. 적극적인 홍보 역시 성공의 한 요인이다. 하림은 KTX매거진, 서울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광고는 물론 워터밤, JUMF 등 지역 축제에 참여하고 숙박·관광업소에 리플릿을 비치하는 한편 교육청과 행정복지센터에 공문을 발송하는 등 전방위적인 홍보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노력은 ‘소비자 인식 변화’와 ‘산업관광 메카 등극’이라는 가시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HCR 투어는 이제 국내 식품산업을 대표하는 견학 명소로 자리 잡아 해외 인사의 방문과 선진지 견학을 위한 발길이 늘고 있다. 하림은 현재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을 준비 중이다. 방문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쿠킹클래스를 신규 오픈해 운영할 예정이며, SNS를 활용한 릴스 콘테스트나 여행 인플루언서 초청 등 홍보 활동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하림 관계자는 “앞으로도 프리미엄 견학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소비자에게 세상에서 가장 신선하고 맛있는 닭고기의 비밀을 알리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관광의 메카로서 위상을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하림 HCR 투어는 공식 홈페이지(harimfoodtour.harim.com)를 통한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며 입장료는 무료다. 투어는 평일 오전 10시, 10시 20분, 10시 40분, 오후 1시 30분, 2시와 토요일 오전 10시, 10기 20분, 10시 40분에 진행되며 약 90분이 소요된다.

  • 익산
  • 송승욱
  • 2025.07.03 13:39

군산시, 청렴도 꼴찌 도시 오명 벗는다

군산시가 청렴도 향상을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시는 7월 한 달간 청렴한 공직문화 정착과 시민 신뢰 회복을 위한 3가지 주요 청렴 시책을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주요 시책은 △신규 이통장단 청렴 서약식 △2025년 청렴 약속 데이 &골든벨 행사 △간부 공무원 대상 청렴 교육 등 3가지이다. 먼저 시는 오는 7일 신임 이통장단을 대상으로 청렴 서약식을 연다. 서약식에서는 이통장단을 비롯한 시청 관계자들이 참석해 군산시의 관행적 부패 예방은 물론 공정하고 청렴한 사회를 조성하는데 모범이 될 것을 다짐하는 청렴 서약문을 낭독할 예정이다. 이어 ‘공정한 업무수행을 방해하는 알선 및 청탁 거부, 부당이득 미취득’을 약속하며 금품 및 향응 수수 금지 등 엄격한 청렴 준수 의지를 다질 방침이다. 이어 오는 10일에는 ‘2025년 청렴 약속 데이’가 열린다. 이날 군산시와 군산시 공무원노동조합, 군산시 공무직노동조합이 함께 참여하는 ‘청렴 군산 실천 공동선언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 기관 대표들은 공정하고 투명한 조직문화 조성을 다짐하는 선언문을 낭독하고 청렴 의지를 공유하게 된다. 또한 전직원 대표가 청렴 결의문을 낭독하고 모두가 청렴구호를 외치는 결의 시간을 갖는 동시에 ‘청렴 골든벨’ 퀴즈 대회를 통해 청렴 관련 지식을 점검하는 한편 참여자들의 청렴 의식을 한층 고취 시킬 계획이다. 오는 14일에는 4‧5급 간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청렴 교육이 시행된다. 이번 교육은 부패 관련 법령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간부 공무원들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이를 통해 군산시 간부 공무원들이 청렴한 조직문화를 선도하고, 부패 예방에 앞장서는 주체로서 책임감을 갖도록 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시책 추진으로 공직자들의 청렴 의식을 대폭 제고하고 시민에게 더욱 신뢰받는 군산시로 거듭나겠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청렴 문화 확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민권익위가 지난해 716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군산시는 최하위 5등급을 받은 바 있다.

  • 군산
  • 이환규
  • 2025.07.03 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