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동굴을 벗어나 빛으로…완주-전주 통합이 국가 전략
지방 소멸과 수도권 집중이라는 구조적 위기 속에서, 전라북도는 생존을 위한 중대한 선택 앞에 서 있다. 인구 감소, 산업 정체, 예산 격차는 더 이상 지역의 문제만이 아니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국가적 과제다. 이 위기를 돌파할 유일한 해법은 바로 ‘완주-전주 행정 통합’이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동굴의 비유’를 통해 인간이 진실을 깨닫기까지 겪는 고통을 설명했다. 지금의 전북은 마치 동굴 속 죄수처럼, 행정 경계라는 그림자에 갇혀 있다. 교통망은 단절되고, 투자와 예산은 중복되며, 경쟁력은 분산된다. 이 그림자를 실체로 착각한 채 살아온 지난 시간은 이제 끝나야 한다. 통합은 그 사슬을 끊고, 동굴 밖의 빛을 향해 나아가는 지성의 결단이다. 1988년 광주가 광역시로 승격될 당시, 전주와의 예산 차이는 229억 원이었다. 그러나 30여 년이 지난 지금, 그 격차는 무려 5조 원에 달한다. 이는 단순한 행정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전체의 동력을 잃게 만든 구조적 불균형을 보여주는 상징적 수치다. 또한, 완주군은 최근 3년간 전라북도 내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한 지역이다. 그러나 이 증가세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전주와 인접한 삼례읍, 용진읍, 이서면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나머지 읍면 지역은 오히려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인구 통계를 넘어, 완주의 독립적 성장보다는 전주와의 생활권 통합이 이미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행정 경계는 여전히 나뉘어 있지만, 주민들의 삶은 이미 하나의 도시권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출퇴근, 교육, 소비, 문화 활동 등 일상생활의 대부분이 전주와 완주를 넘나들며 이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 경계는 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통망은 단절되고, 예산은 중복되며, 도시계획은 분산되고 있다. 이는 마치 플라톤이 말한 ‘동굴의 비유’처럼, 실체가 아닌 그림자에 갇혀 있는 상태다. 우리가 마주한 현실은 이미 통합된 생활권인데, 행정만이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전주와 완주가 통합되면 인구 73만 명, 면적 1,027㎢의 대도시가 탄생한다. 이는 단순한 규모의 확대가 아니라, ‘기능 중심 특례시’로 지정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특례시는 광역시급의 행정 자치권과 재정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국책사업 유치와 글로벌 기업 투자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다. 전주시는 이미 2040년까지 100만 광역도시를 목표로 수소·AI 산업 육성, K-문화관광벨트 구축 등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통합을 전제로 한 전략이며, 완주와의 결합 없이는 실현이 어렵다. 완주 군민의 우려는 타당하다. 그러나 통합은 손해가 아닌 혜택의 ‘더하기’다. 정부는 통합 시 12년간 기존 복지 유지를 법적으로 보장하고, 더 유리한 혜택을 선택 적용하도록 명문화했다. 또한, 특별 지원금과 교부세는 완주 지역에 집중 투자되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부동산 가치 상승이라는 실질적 이익도 기대된다. 행정 접근성 역시 개선된다. 통합 시 4개 이상의 행정구 설치, 보건소 분산 배치, 택시사업구역 통합, 시내버스 노선 확대 등으로 농촌 외곽 지역의 생활 편의가 대폭 향상된다. 정체성 문제도 ‘완주’가 포함된 특례시 명칭 공모 등을 통해 군민의 자부심을 반영할 수 있다. 완주-전주 통합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다. 이는 전북의 생존 전략이며, 대한민국의 균형 발전을 위한 국가 전략이다. 지금이야말로 동굴을 벗어나 빛으로 나아갈 시간이다. 통합은 지성의 용기이며, 미래를 향한 책임 있는 결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