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공모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지역 참여
지역 산업 정책 방향에 맞는 인재 양성 및 정착
전북도가 교육부 RIS(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신규지역 및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시범지역 선정을 통해 지역 및 지방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한다. 지역 산업 정책 방향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에 정착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교육부는 지난 2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2023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올해 RIS 사업은 3개 지역을 신규 선정한다. 오는 16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교육부에서 2월 중 평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으로, 도는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RIS 총괄대학인 전북대를 중심으로 사업계획을 작성해 기한 내 교육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RIS 신규 지역으로 선정되면 오는 6월까지 약 3개월 간 사업계획을 토대로 교육부와 지자체, 대학이 공동 설계·조정(Co-Design)을 거쳐 세부 실행계획을 확정하며, 7월에 관련 협약을 맺은 후 5년간 2145억 원(국비 1500억, 지방비 645억)이 투입된다.
올해 RIS 사업에서 가장 달라진 점은 대학 중심에서 지자체 주도로의 사업체계 전환이다. 기존 RIS 사업이 대학 위주로 추진돼 지자체의 의견 반영이 제한되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사업계획 수립부터 성과관리까지 지자체의 참여와 역할이 확대된다.
특히, RIS 사업의 총괄·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총괄운영센터를 지자체 소관 비영리법인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으로 40억 원씩 3개 지역을 선정하는 ’지자체 주도 협력체계 활성화 사업‘을 상반기 중 공모할 예정이다.
전북도가 주안점을 둔 분야는 교육부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라이즈) 시범 지역 선정이다.
교육부는 올해 비수도권 5개 시·도를 라이즈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2024년까지 시범 운영하고, 2025년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비수도권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21일까지 ‘RISE 시범지역 신청서’를 접수 받아 심사를 통해 3월 초 발표한다.
RISE 사업의 핵심은 대학재정지원사업의 전담기구를 지자체 소관 비영리법인(설립 또는 지정)에 구축·운영하는 데 핵심이 있다.
교육부는 시도별 대학재정지원사업 전담기구(비영리법인, 가칭 RISE센터)에 △RIS(지역혁신사업) △LINC 3.0(산학 협력) △LiFE(대학 평생교육) △HiVE(전문 직업교육) △지방대 활성화 사업 등 지자체와의 협력이 중요한 5개 대학 재정지원 사업을 연계·통합해 지원한다. 특히 RISE 체계를 모든 지역으로 확대하는 2025년부터 교육부 대학지원 사업 예산의 50% 이상(2조 원+a)의 배분 권한을 지자체로 위임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중 선정 예정인 ‘글로컬 대학’ 지정 시, RISE 시범 지역을 우대한다. 지역발전을 선도하고 세계적 수준의 특화 분야를 갖춘 ‘글로컬대학’은 올해 10개 내외로 시작해 2027년까지 비수도권 모든 지역에 총 30개 내외를 지정·육성할 계획이다. 지정 대학에는 5년간 학교당 1000억 원을 지원하는 등 중앙부처·지자체의 집중적인 재정 투자가 이뤄진다.
나해수 전북도 교육소통협력국장은 “변화된 정부 정책에 적극 대응해 RIS 신규 및 RISE 시범지역에 선정되도록 노력함으로써 지자체와 대학 연계를 통해 지역 인재를 육성하고 지역발전 및 지역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